질환

비만 – 내장지방 vs 피하지방의 차이와 치료 전략

Rx지식노트 2025. 6. 5. 12:10
728x90
반응형

 

비만 – 내장지방 vs 피하지방의 차이와 치료 전략

병태생리, 최신 치료법까지 과학적으로 알아보는 지방 이야기

1. 비만이란?

비만은 에너지 섭취가 소비를 초과하면서 지방이 과도하게 축적된 상태입니다. 지방 분포 위치에 따라 건강에 미치는 영향이 달라지며, 내장지방과 피하지방으로 구분됩니다.

2. 내장지방과 피하지방의 비교

항목 내장지방 피하지방
위치 복강 내 장기 사이 피부 아래 지방층
대사활성도 높음 (염증 유발) 낮음 (저장 기능)
분비물 IL-6, TNF-α 등 염증성 사이토카인 아디포넥틴 등 항염 물질
건강위험 심혈관질환, 당뇨, 대사증후군 체형 변화 중심
감소 속도 운동/식이요법에 민감 감량에 시간 소요

3. 내장지방이 위험한 이유

  • 염증성 사이토카인 분비 증가 → 만성염증
  • 인슐린 저항성 유도 → 제2형 당뇨
  • 지질대사 이상 → 고지혈증, 지방간
  • 혈관 기능 저하 → 고혈압, 심혈관질환

4. 진단 방법

  • CT/MRI: 지방 분포 정확히 확인
  • InBody 등 체성분 측정기: 내장지방 지수 측정
  • 허리둘레: 남성 ≥ 90cm, 여성 ≥ 85cm 이상은 위험

5. 지방 유형별 치료 전략

내장지방 치료

  • 고강도 유산소 운동 (주 150분 이상)
  • 저당 및 지중해식 식단
  • GLP-1 유사체 약물 (세마글루타이드 등)
  • 스트레스 관리, 금연, 절주

피하지방 치료

  • 근력 운동 + 식이요법 병행
  • 기초대사량 증가 목적 운동
  • 필요시 미용 시술 병행

6. 최신 치료 트렌드

치료법 특징
GLP-1 유사체 (세마글루타이드 등) 식욕 억제, 인슐린 민감도 ↑
대사수술 지방감소 + 당대사 개선, 장기 효과
디지털 헬스 프로그램 AI 기반 식단/운동 설계
저탄고지 식단, 간헐적 단식 내장지방 감량 효과 입증

7. 임상 사례

  • CASE 1: 내장지방↑ 남성 → GLP-1 치료 병행 → 3개월 내 수치 감소
  • CASE 2: 피하지방↑ 여성 → 근력운동 + 저칼로리 식단 → 체형 개선

8. 참고 문헌

  • 대한비만학회 비만 진료지침 (2024)
  • NIH Obesity Guidelines
  • Mayo Clinic, Nature Reviews Endocrinology

다음 글 예고: 알마게이트 – 제산제 성분과 국내 제품 비교

728x90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