질환
비알콜성 지방간(NAFLD): 병태생리, 진단, 치료 전략까지
Rx지식노트
2025. 6. 16. 11:35
728x90
반응형
🩺 비알콜성 지방간(NAFLD): 병태생리, 진단, 치료 전략까지
🔍 1. 정의 및 역학
비알콜성 지방간 질환(NAFLD, Non-Alcoholic Fatty Liver Disease)은 알코올 섭취가 거의 없거나 없는 상태에서 간 내 중성지방이 5% 이상 축적된 상태를 말합니다. 이는 단순 지방간(Steatosis)부터, 비알콜성 지방간염(NASH), 간섬유화(Fibrosis), 간경변증(Cirrhosis), 간세포암(HCC)까지 진행할 수 있는 연속적 스펙트럼 질환입니다.
- 전 세계 성인 인구의 약 25~30%
- 대사증후군 환자의 60~80%에서 동반
- 소아 비만에서도 증가 추세
⚙️ 2. 병태생리 (Pathophysiology)
NAFLD는 단순한 지방 축적이 아닌, 다단계 기전(Multi-hit theory)에 기반한 복합적인 대사 이상 결과입니다.
단계 | 설명 |
---|---|
1차 Hit | 인슐린 저항성 → 지방산 유입 증가 + 지방합성 증가 |
2차 Hit | 지방산 산화 → 활성산소 증가 + 미토콘드리아 손상 |
3차 Hit | 염증 반응 유도 → 간세포 괴사 → 섬유화 |
💡 관련 위험인자
- 비만 (특히 내장비만)
- 제2형 당뇨병
- 고지혈증 (고중성지방혈증, HDL 저하)
- 고혈압
- 유전적 소인 (PNPLA3, TM6SF2 등)
🧪 3. 진단
NAFLD는 기본적으로 배제 진단입니다. 즉, 알코올성 지방간, 바이러스성 간염, 약물성 간질환 등을 먼저 배제해야 합니다.
1) 임상적 평가
- 음주력 확인: 남자 <30g/일, 여자 <20g/일
- 위험 인자 확인: 비만, 당뇨, 대사증후군
2) 검사실 검사
항목 | 의의 |
---|---|
AST, ALT | 경증 상승 가능 (ALT > AST 경향) |
γ-GTP, ALP | 간담도 질환 감별 필요 |
HbA1c, 지질검사 | 대사 관련 동반질환 평가 |
HBsAg, anti-HCV | 바이러스성 간염 배제 |
3) 영상학적 검사
방법 | 설명 |
---|---|
복부초음파 | 가장 일반적, 밝은 에코 증가 |
CT/MRI | 간 지방 축적 정량화 가능 |
FibroScan | 간 섬유화 및 탄성도 측정 |
4) 간 조직검사
- NAFLD Activity Score (NAS) 평가
- NASH 여부 및 섬유화 정도 확인
- 고위험군에서 시행 고려
💊 4. 치료 전략
✅ 1) 비약물요법
항목 | 목표 |
---|---|
체중감량 | 5~10% 이상 감량 |
식이조절 | 지중해식, 저탄수화물, 저지방 식단 |
운동요법 | 유산소+근력, 주 150분 이상 |
당뇨/지질 조절 | 적극적인 병행 치료 필요 |
✅ 2) 약물요법 (선택적)
약물 | 기전 | 권장대상 |
---|---|---|
비타민 E | 항산화 효과 | 비당뇨 NASH 환자 |
Pioglitazone | 인슐린 감작 | NASH + 당뇨 또는 고위험군 |
GLP-1 유사체 | 체중감소 + 간지방 감소 | 당뇨 + NASH 환자 |
SGLT2 억제제 | 대사 개선 | 당뇨 동반 NAFLD 환자 (신규 연구 중) |
※ 현재 NAFLD/NASH에 대한 공식 허가 치료제는 없습니다.
📉 5. 예후와 합병증
- NASH 환자의 20~30% → 간섬유화 진행
- 섬유화가 심할수록 간경변 및 간암 위험 증가
- 심혈관 질환(CVD)이 주요 사망 원인
📚 6. 참고 문헌 및 가이드라인
- American Association for the Study of Liver Diseases (AASLD)
- European Association for the Study of the Liver (EASL)
- 대한간학회 NAFLD 진료지침 2023
- Younossi Z et al. Nat Rev Gastroenterol Hepatol. 2018
- Eslam M, et al. J Hepatol. 2020
✅ 7. 요약 정리
- 가장 흔한 만성 간질환, 대사질환과 밀접
- 간단한 초음파와 혈액검사로 진단 가능
- 생활습관 개선이 치료의 핵심
- 간경변 및 심혈관질환까지 진행 가능성 있음
728x90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