검사

LDL 콜레스테롤 수치 해석과 고위험군별 목표 기준

Rx지식노트 2025. 6. 23. 14:07
728x90
반응형

 

LDL 콜레스테롤(Low-Density Lipoprotein)은 혈관벽에 쌓여 동맥경화를 유발하는 주요 인자로, 흔히 ‘나쁜 콜레스테롤’이라고 불립니다. 심혈관 질환 예방을 위해 각 위험군에 따라 LDL 수치를 다르게 조절하는 것이 매우 중요합니다.

1. LDL 수치 해석 기준

수치 범위 (mg/dL) 판정
< 100 최적 (Optimal)
100 ~ 129 준수 (Near optimal)
130 ~ 159 경계선 높음 (Borderline high)
160 ~ 189 높음 (High)
≥ 190 매우 높음 (Very high)

2. 고위험군별 목표 수치 (ESC/EAS 기준)

환자군 조건 LDL 목표 수치
극초고위험군 심근경색, 뇌졸중, 당뇨 + 장기손상 < 55 mg/dL
고위험군 당뇨, 고혈압, 흡연 등 복합 인자 < 70 mg/dL
중간 위험군 1~2개의 위험 인자 < 100 mg/dL
저위험군 위험 인자 없음 < 130 mg/dL

3. LDL 수치와 심혈관 질환 위험도

  • < 70 mg/dL: 매우 낮은 위험
  • 100 ~ 129 mg/dL: 중간 수준
  • ≥ 160 mg/dL: 고위험, 치료 필요
  • ≥ 190 mg/dL: 가족성 고지혈증 가능성

4. 치료 전략

▶ 1차: 생활습관 개선

  • 포화지방과 트랜스지방 섭취 제한
  • 지방보다 식이섬유와 오메가3 섭취 권장
  • 규칙적인 운동 및 체중 조절

▶ 2차: 약물 치료

약물 작용 기전 LDL 감소율
스타틴 HMG-CoA 환원효소 억제 20~60%
에제티미브 장내 콜레스테롤 흡수 억제 10~20%
PCSK9 억제제 LDL 수용체 분해 억제 50~60%

5. 검사 시 유의사항

  • 8~12시간 공복 상태에서 채혈
  • 중성지방(TG) 수치가 높으면 직접 LDL 측정 필요
  • HDL, TG, 총콜레스테롤과 함께 분석

6. 참고문헌

  • 대한이상지질혈증학회 진료지침 (2023)
  • ESC/EAS Dyslipidemia Guidelines (2019)
  • UpToDate: LDL-C management targets
  • 서울대병원 의학정보

 

728x90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