검사/결핵검사실
결핵의 잠복감염(LTBI) – 증상도 없는데 왜 치료해야 할까?
Rx지식노트
2025. 6. 30. 13:07
728x90
반응형
1. 정의 – LTBI란 무엇인가?
잠복결핵감염(LTBI)은 결핵균이 체내에 존재하지만 면역체계에 의해 억제되어 증상이 없고 비활성 상태로 존재하는 감염입니다.
항목 | 활동성 결핵 | 잠복결핵 (LTBI) |
---|---|---|
증상 | 있음 | 없음 |
전염성 | 있음 | 없음 |
진단 | X-ray, 객담 검사 | TST 또는 IGRA |
치료 필요성 | 필수 | 고위험군 중심 |
2. 역학 – 왜 중요한가?
- 전 세계 인구의 약 25%가 LTBI 상태로 추정
- 이 중 5~10%는 평생 활동성 결핵으로 전환
- HIV, 당뇨, 이식 환자 등 고위험군은 발병률 증가
📌 국내는 집단시설 중심으로 LTBI 검진 사업을 시행 중입니다.
3. 진단 방법
▪ TST (투베르쿨린 검사)
- 48~72시간 후 경결 측정, ≥10mm 양성
- 위양성: BCG 접종 영향
- 위음성: 면역저하 시
▪ IGRA
- 혈액 기반 검사, BCG 영향 없음
- 민감도 우수하나 고령자에서는 위음성 가능
✅ 한국에서는 BCG 접종률 높아 IGRA 선호
4. LTBI 치료의 필요성
- 활동성 결핵으로 전환 방지를 위한 예방적 목적
- WHO 및 CDC에서 고위험군 치료 강력 권고
▪ 고위험군 예시
- HIV 감염자
- 면역억제 치료 예정자
- 5세 미만 아동
- 결핵 환자와 밀접 접촉한 동거인
- 장기요양시설 종사자, 당뇨/신부전 환자
5. 치료 요법 비교
요법 | 약물 | 기간 | 특징 |
---|---|---|---|
9H | Isoniazid | 9개월 | 표준요법 |
6H | Isoniazid | 6개월 | 순응도 향상 |
3HR | INH + RIF | 3개월 | 권장요법 |
3HP | INH + Rifapentine | 3개월(주1회) | 최근 도입 |
4R | Rifampin 단독 | 4개월 | INH 부작용 회피 |
6. 치료 중 고려사항
- 간 기능 검사 필요 (특히 INH 포함 요법)
- 복약 순응도 중요 – DOT(DOTS) 병행 고려
- HIV 감염자는 ART 병행 가능 여부 확인
7. 국내 정책 및 전략
▪ LTBI 검진 대상 (질병관리청 2023)
대상군 | 검진 여부 |
---|---|
보육교사, 유치원 종사자 | 의무 |
학교, 교정시설, 군 | 의무 |
의료기관 신규 채용자 | 권고 |
▪ 전략 방향
- LTBI 등록 및 치료 완료율 향상
- 고위험군 중심 예방치료 확산
- 결핵 발생률 감소로 연결
📚 참고 문헌
- WHO. Latent TB Infection – Updated Guidelines 2022
- CDC. LTBI Guide for Primary Care
- 질병관리청. 결핵환자 관리지침 2023
- 한국결핵및호흡기학회. 결핵 진료지침 제4판
- JAMA. Diagnosis and treatment of latent TB, 2014
728x90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