검사/결핵검사실
결핵과 영양 – 단백질, 비타민이 면역력과 어떤 관련이 있을까?
Rx지식노트
2025. 7. 1. 14:17
728x90
반응형
1. 서론 – 결핵과 영양의 상호작용
결핵은 전염성 질환이지만, 그 병태생리의 중심에는 면역 기능이 있습니다. 영양 결핍은 면역 저하를 초래하여 감염 위험을 높이며, 결핵 발병 및 치료 경과에도 영향을 미칩니다.
📌 영양 결핍 → 면역 저하 → 감염 위험 ↑ → 결핵 발병 → 체중감소 → 영양 손실 악화
2. 결핵 환자의 영양 상태 – 현황 및 임상적 의미
항목 | 의미 | 정상 기준 | 결핵에서의 변화 경향 |
---|---|---|---|
BMI | 체중 상태 | 18.5~24.9 | <18.5시 위험도 상승 |
알부민 | 영양 및 예후 지표 | ≥3.5 g/dL | <3.0이면 사망률 ↑ |
CRP | 염증 지표 | <0.5 mg/dL | 염증 반응에 따라 상승 |
림프구 | 면역력 | >1,500 /µL | 저수치 시 감염 위험 ↑ |
3. 면역 기능에 중요한 영양소들
- 단백질: 면역세포 구성, 체중 유지에 필수
- 비타민 D: 항균 펩타이드 합성, T세포 조절
- 비타민 A: 점막 면역 보호, T세포 분화
- 아연(Zn): 대식세포 활성, 면역 반응 조절
- 철분: 림프구 기능 및 산소 운반 (과잉은 결핵균 증식 위험)
4. 결핵 치료와 영양요법의 병행
- INH: 비타민 B6 결핍 유도 → 말초신경염 예방 위해 병용
- Rifampin: 간 효소 유도 → 비타민 D/K 대사 증가 가능성
✅ NST(영양지원팀) 연계를 통한 영양관리 권장
5. 결핵 치료 결과에 미치는 영향
연구 | 주요 결과 |
---|---|
WHO (2021) | BMI 16 이하 환자군에서 치료 실패율 2배 |
BMJ (2019) | 알부민 <3.0 환자군에서 6개월 사망률 3배 |
Lancet (2015) | 비타민 D 결핍군에서 sputum conversion 지연 |
6. 보충제 섭취 – 언제, 어떻게?
▪ 권장 대상
- 고령, 흡수장애, HIV 감염자
- 다제내성 결핵, 저알부민/저체중 환자
▪ 추천 성분 및 용량
성분 | 용량 | 비고 |
---|---|---|
비타민 D | 800~2,000 IU/day | 결핍 시 최대 5,000 IU 가능 |
아연 | 15~30 mg/day | 장기 고용량 주의 |
비타민 B6 | 25~50 mg/day | INH 병용 필수 |
단백질 보충 | 1.2~1.5 g/kg/day | 알부민 수치 참고 |
7. 임상 실천 포인트
- 모든 결핵 환자에게 영양평가 실시 권장
- 영양관리 병행 시 치료 성공률, 생존율 향상
- 보충제 사용은 증거 기반, 환자별 맞춤 적용
📚 참고 문헌
- WHO. Nutritional care and support for patients with TB, 2021
- 한국결핵및호흡기학회. 결핵 진료지침 제4판
- BMJ. Malnutrition and tuberculosis outcomes, 2019
- Lancet. Vitamin D and TB infection outcomes, 2015
- 질병관리청. 결핵환자 관리지침 2023
728x90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