항고협압제 상세비교, 수치는 같아도 다른 고혈압입니다. ARB, ACEi, CCB, 베타차단제의 기전과 차이점

Rx지식노트 2025. 5. 23. 13:30
728x90
반응형

 

 

항고혈압제 비교 정리 – ARB, ACEi, CCB, 베타차단제의 기전과 차이점

1. 고혈압 치료제의 필요성

고혈압은 뇌졸중, 심근경색, 심부전, 신부전 등의 주요 위험 인자입니다. 따라서 환자 개개인의 특성과 동반 질환에 맞는 항고혈압제 선택이 중요합니다. 항고혈압제는 혈압 조절뿐 아니라 장기 보호 효과까지 고려하여 선택되어야 합니다.

2. 항고혈압제 주요 계열 및 기전

분류 작용 기전 대표 성분 특징
ACEi 안지오텐신 전환효소 억제 → 혈관 수축 억제 리시노프릴, 엔알라프릴 단백뇨 감소, 기침 부작용
ARB 안지오텐신 II 수용체 차단 로사르탄, 텔미사르탄 기침 없음, 심장 보호
CCB 칼슘 유입 차단 → 말초혈관 확장 암로디핀, 니페디핀 노인, 당뇨 환자 적합
베타차단제 β1 수용체 차단 → 심박수, 심박출량 ↓ 아테놀올, 카르베딜롤 심부전, 심근경색 환자 적합

3. 기전별 상세 비교

ACEi (Angiotensin-Converting Enzyme Inhibitors)

  • 레닌-안지오텐신 시스템 차단 → 혈관 확장
  • 단백뇨 감소 효과로 당뇨병 신병증 예방
  • 기침, 고칼륨혈증, 드물게 혈관부종 가능

ARB (Angiotensin Receptor Blockers)

  • 안지오텐신 II의 수용체 작용 차단 → ACEi와 유사 효과
  • 기침 부작용 거의 없음 → ACEi 대체제로 자주 사용
  • 당뇨, 심부전, 고령자에게 안전성 높음

CCB (Calcium Channel Blockers)

  • L-type 칼슘채널 차단 → 혈관 평활근 이완
  • 노인, 흑인 환자에게 1차 치료로 효과적
  • 부작용: 발목 부종, 안면 홍조, 두통

베타차단제 (Beta Blockers)

  • 교감신경 억제 → 심박수 감소, 심장 수축력 감소
  • 심근경색 후, 심부전, 부정맥 치료에 유리
  • 부작용: 피로감, 서맥, 성기능 저하, 천식 악화

4. 환자 상태별 추천 조합

임상 상황 추천 계열 비고
당뇨병 + 단백뇨 ACEi or ARB 신장 보호 목적
심부전 ACEi + 베타차단제 심장 재형성 억제
노인 환자 CCB 말초혈관 저항 감소 효과
기침 유발 ARB ACEi 대체제
협심증 동반 CCB or 베타차단제 심근 산소소모 감소

5. 병용 요법

  • 단일제 효과 부족 시 2제 병용 요법 권장
  • ARB + CCB 또는 ACEi + 이뇨제 조합 흔함
  • 복합제(1정에 2성분 포함) 사용 시 복약 순응도 향상

결론

항고혈압제는 작용 기전과 임상 적응증에 따라 선택해야 하며, 환자의 기저 질환, 연령, 부작용 이력 등을 고려해 맞춤형 처방이 중요합니다. 단일 성분에 의존하기보다 병용요법을 적절히 활용하면 혈압 조절 및 장기 보호 효과를 동시에 얻을 수 있습니다.

출처

  • 대한고혈압학회 진료지침 (2023)
  • JNC-8 고혈압 가이드라인
  • UpToDate: Initial therapy of hypertension
728x90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