질환

용혈성 빈혈(Hemolytic Anemia)의 병태생리, 감별 진단, 검사 해석, 치료 전략

Rx지식노트 2025. 7. 16. 13:34
728x90
반응형

 

 

1. 용혈성 빈혈 개요

용혈성 빈혈은 적혈구가 조기 파괴되어 골수의 생성 속도로 보상되지 못할 때 발생합니다. 보통 적혈구 수명은 120일이나, 이보다 훨씬 빠르게 파괴될 경우 빈혈이 유발됩니다.

2. 병태생리

구분 설명
혈관 외 용혈 비장/간에서 대식세포가 적혈구를 파괴 (예: 유전구형적혈구증, AIHA)
혈관 내 용혈 혈관 내 직접 파괴 (예: G6PD 결핍, DIC, PNH)

3. 분류 및 원인

선천성 용혈성 빈혈

분류 대표 질환 기전
적혈구막 이상 유전구형적혈구증 Spectrin, Ankyrin 결함
효소 결핍 G6PD, 피루브산키나제 결핍 산화 스트레스 저항력 저하
헤모글로빈 이상 겸상적혈구증, 지중해빈혈 Globin chain 변이

후천성 용혈성 빈혈

기전 대표 질환
면역매개 AIHA, 수혈 부작용
비면역 DIC, TTP, 감염성 용혈 (말라리아 등)
기계적 심장판막, 인공막 산소기
약물 유발 페니실린, 설파제 등

4. 임상 증상

  • 창백, 피로, 어지럼증
  • 황달 (간접 빌리루빈 증가)
  • 암갈색 소변 (Hemoglobinuria)
  • 비장/간 비대
  • 심한 경우 쇼크, 급성 심부전

5. 핵심 진단 검사

검사 항목 해석
CBC + 망상적혈구 Hb ↓, 망상적혈구 ↑
말초혈액도말 구형적혈구, 타겟세포 등
빌리루빈 간접형 빌리루빈 증가
LDH 세포 파괴 시 상승
Haptoglobin 감소 (혈중 Hb과 결합되어 소모)
Coombs test (DAT) 자가면역성 여부 판단
유전자 검사 G6PD, 지중해빈혈 등 유전 진단

6. 감별 진단 알고리즘

빈혈 발견 → 망상적혈구 증가? → YES → 용혈 의심 →
Coombs 검사 → +
│   └→ 자가면역성 용혈성 빈혈 (AIHA)
└→ Coombs 검사 → -
    └→ 비면역성: 유전성, 기계성, 감염성 등 고려
  

7. 치료 전략

선천성 용혈성 빈혈

  • 엽산 보충
  • 필요시 수혈
  • 비장 절제술 (Splenectomy)
  • 백신 접종 (폐렴구균, 수막구균 등)

후천성 용혈성 빈혈

  • 자가면역: 스테로이드, 면역억제제 (Rituximab 등)
  • 감염: 병원체 치료
  • 약물 유발: 약물 중단
  • 중증: 수혈, IVIG, 입원 치료

8. 응급 상황 시 대처

  • 교차적합 수혈 진행
  • 교환수혈 또는 광선치료 (신생아)
  • 스테로이드 및 고용량 IVIG 투여 고려

9. 참고 문헌

  • Hematology: Basic Principles and Practice. Hoffman et al. 2022
  • UpToDate: Hemolytic anemia in adults
  • 대한진단검사의학회 검사 지침
  • WHO Genetic Blood Disorders Guidelines
  • Lab Tests Online – Coombs, G6PD 검사

요약 포인트

  • 용혈성 빈혈은 적혈구 조기 파괴로 발생
  • 선천성과 후천성에 따라 원인과 치료 다름
  • Coombs, 말초혈액도말, LDH, Haptoglobin 검사 필수
  • 면역억제제, 수혈, 비장절제 등 환자 맞춤 치료 필요

 

728x90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