질환

'조용한 침묵'간염 – 급성/만성의 원인, 증상, 진단, 치료 전략

Rx지식노트 2025. 5. 24. 21:51
728x90
반응형

간염 – 급성/만성의 원인, 증상, 진단, 치료 전략

1. 간염이란?

간염(Hepatitis)은 간세포에 염증이 생긴 상태를 말합니다. 바이러스, 알코올, 약물, 자가면역 등 다양한 원인으로 발생하며, 급성과 만성으로 나뉩니다. 간세포가 파괴되면 간기능 저하, 황달, 피로, 식욕부진 등의 증상이 나타날 수 있으며, 만성화되면 간경변 및 간암으로 이어질 수 있습니다.

2. 주요 원인

  • 바이러스 간염: A, B, C, D, E형 바이러스
  • 알코올성 간염: 과도한 음주로 간세포 손상
  • 약물 유발성 간염: 항생제, NSAIDs, 허브제품 등
  • 자가면역성 간염: 자가항체가 간세포를 공격
  • 지방간염: 대사증후군, 비만, 당뇨 등

3. 급성 vs 만성 간염

항목 급성 간염 만성 간염
지속 기간 6개월 미만 6개월 이상
주 원인 A형, E형, B형(급성) B형, C형, 자가면역, 알코올
증상 발열, 황달, 피로, 메스꺼움 무증상이 많음, 간기능 이상으로 발견
예후 대부분 자연 회복 간경변, 간암 진행 위험

4. 주요 간염 바이러스 특성

바이러스 감염 경로 예방 백신 만성화
A형 경구 감염 (물, 음식) 있음 없음
B형 혈액, 성접촉, 수직감염 있음 있음 (5~10%)
C형 혈액 없음 있음 (70~80%)
D형 B형 동반 감염 시만 가능 없음 (B형 예방이 효과) 있음
E형 경구 감염 (개도국) 제한적 (일부 국가만) 드묾 (임신부 치명률↑)

5. 진단 방법

  • 간 기능 검사: AST, ALT, 빌리루빈
  • 혈청 바이러스 검사: HBsAg, anti-HCV, IgM anti-HAV 등
  • PCR: HBV DNA, HCV RNA → 바이러스 정량
  • 간 초음파, 섬유화 스캔(FibroScan)
  • 자가면역항체 검사: ANA, SMA 등 (자가면역성 간염 의심 시)

6. 치료 전략

  • 급성 A형, E형 간염: 대증요법 (안정, 수분보충, 증상관리)
  • B형 간염: 항바이러스제 (엔테카비르, 테노포비르 등)
  • C형 간염: 직접작용항바이러스제(DAA)로 8~12주 치료 → 95% 이상 완치율
  • 알코올성 간염: 절주, 스테로이드 (중증 시)
  • 자가면역성 간염: 프레드니솔론, 아자티오프린 등 면역억제제

7. 예방과 관리

  • 백신 접종: A형, B형 예방 가능
  • 바이러스 간염 보균자는 정기 모니터링 (HBV DNA, ALT 등)
  • 고위험군: 의료인, 혈액투여자, 수혈자, HIV 동반자 등
  • 간 손상 방지를 위한 금주, 적절한 체중 유지
  • 정기적인 간초음파 및 AFP 검사로 간암 조기 발견

결론

간염은 원인에 따라 급성과 만성으로 구분되며, 감염 경로, 증상, 치료법이 모두 다릅니다. 대부분 무증상이거나 비특이적인 증상으로 인해 진단이 늦어질 수 있으므로, 정기적인 검사와 고위험군 예방이 매우 중요합니다. 특히 만성 B형 및 C형 간염은 간경변과 간암의 주요 원인이므로 조기 진단과 항바이러스 치료가 필수적입니다.

출처

  • 대한간학회 간염 진료 가이드라인 (2023)
  • CDC – Viral Hepatitis Overview
  • WHO – Global hepatitis report 2022
  • UpToDate – Approach to the patient with abnormal liver tests
728x90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