당뇨병 치료제의 분류와 기전 – 메트포르민, DPP-4 억제제, SGLT2 억제제 비교

Rx지식노트 2025. 5. 28. 15:45
728x90
반응형

 

당뇨병 치료제의 분류와 기전 – 메트포르민, DPP-4 억제제, SGLT2 억제제 비교

1. 서론

제2형 당뇨병의 치료는 혈당 조절뿐 아니라 심혈관계 및 신장 보호를 포함한 전반적인 대사 관리가 중요합니다. 다양한 작용기전의 경구용 및 주사용 치료제가 있으며, 각 약물은 환자의 상태에 따라 선택적 또는 병용으로 사용됩니다.

2. 대표 약물 계열별 작용 기전

약물 계열 대표 약물 기전 혈당 조절 위치
Biguanide 메트포르민 간 포도당 생성 억제 / 말초 감수성 ↑ 공복 혈당↓
DPP-4 억제제 시타글립틴 GLP-1 분해 억제 → 인슐린↑, 글루카곤↓ 식후 혈당↓
SGLT2 억제제 엠파글리플로진 신장에서 포도당 재흡수 억제 공복 + 식후 혈당↓

3. 약물별 특성 및 부작용

  • 메트포르민:
    • 가이드라인 상 1차 치료제
    • 체중 증가 없음, 저혈당 없음
    • 위장 부작용 (복통, 설사), 젖산산증 주의
    • eGFR ≥ 30 mL/min 필요
  • DPP-4 억제제:
    • 저혈당 위험 낮고, 병용 시 안전
    • 식후 혈당 조절 우수
    • 체중 중립, 부작용 적음
    • 신기능 따라 용량 조절 (리나글립틴 제외)
  • SGLT2 억제제:
    • 체중 감소, 혈압 감소
    • 심부전 및 신장 보호 효과 입증
    • 요로감염, 케톤산증, 탈수 주의
    • eGFR 45~60 이상에서 시작 권장

4. 병용 전략

당 조절이 단일 약물로 충분하지 않으면 기전이 다른 약물과 병용이 필요합니다. 저혈당 위험을 최소화하면서도 심혈관/신장 보호를 고려한 약물 조합이 권장됩니다.

  • 1차: 메트포르민
  • 2차: HbA1c 목표 미달 시 아래 중 선택
  • 심혈관 질환자: SGLT2 억제제 or GLP-1 유사체
  • 비만, 고혈압 동반자: SGLT2 억제제 선호
  • 고령자, 신장애자: DPP-4 억제제 적합

5. 약물 선택 시 고려 요소

  • HbA1c 수치와 목표
  • 저혈당 위험 여부
  • 체중 조절 필요 여부
  • 심혈관 및 신장 질환 동반 여부
  • 복용 편의성과 비용

결론

당뇨병 치료는 단순히 혈당을 낮추는 것을 넘어서, 환자의 전신 대사 상태와 장기 기능을 고려한 개별화된 치료가 필요합니다. 메트포르민, DPP-4 억제제, SGLT2 억제제는 각각의 작용 기전과 이점이 뚜렷하여 병용 및 선택 전략에 따라 더 효과적인 치료가 가능합니다.

출처

  • ADA Standards of Care in Diabetes 2024
  • 대한당뇨병학회 진료지침 (2023)
  • UpToDate – Overview of antihyperglycemic agents in T2DM
728x90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