질환

췌장염 – 급성과 만성의 차이, 병태생리, 증상, 진단, 치료

Rx지식노트 2025. 5. 31. 16:22
728x90
반응형

 

췌장염 – 급성과 만성의 차이, 병태생리, 증상, 진단, 치료

1. 췌장염(Pancreatitis)이란?

췌장염은 췌장에 급성 또는 만성 염증이 생기는 질환으로, 자가소화로 인한 조직 손상이 핵심 병태입니다. 췌장은 소화효소와 호르몬을 분비하는 장기입니다.

2. 급성 췌장염

병태생리

  • 소화효소 조기 활성화로 췌장세포 자가소화
  • 염증매개물질에 의한 국소 괴사 또는 전신 염증반응

원인

원인 설명
담석 담관을 막아 췌장액 역류 유도
음주 췌장세포 손상 및 효소 분비 촉진
고중성지방혈증 TG > 1000mg/dL

진단 및 치료

  • 혈중 아밀라아제/리파아제 3배 이상 상승
  • 복부 CT, 초음파 활용
  • 치료: 금식, 수액, 원인 제거

3. 만성 췌장염

병태생리

  • 지속된 염증 → 섬유화 → 기능 저하

주요 원인

원인 설명
알코올 가장 흔한 원인
유전 PRSS1, SPINK1 변이
자가면역 IgG4 상승

증상 및 진단

  • 복통, 체중 감소, 지방변
  • CT/MRI 상 석회화, 췌관 확장
  • 소화효소/인슐린 보완 필요

4. 급성과 만성 췌장염 비교

항목 급성 만성
발병 급격 점진적
기능장애 드물게 잦음
회복 완전 가능 불가역

5. 예후 및 결론

급성은 완치 가능하지만 중증은 위험하며, 만성은 관리가 핵심입니다. 금주, 식이조절, 지속적 모니터링이 필수입니다.

728x90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