검사
LDH (Lactate Dehydrogenase) 검사: 조직 손상의 민감 지표
Rx지식노트
2025. 6. 2. 09:47
728x90
반응형
LDH (Lactate Dehydrogenase) 검사: 조직 손상의 민감 지표
LDH는 포도당 대사 과정에서 젖산과 피루브산을 상호 전환시키는 NAD⁺ 의존성 효소로, 세포 손상이 발생할 경우 혈액 내로 방출되어 조직 손상의 지표로 활용됩니다.
LDH 검사 목적
- 조직 손상 감지 (심근경색, 간질환, 폐색전증 등)
- 암 환자 치료 반응 및 재발 평가
- 용혈, 폐렴, 간염 등 진단 보조
정상 참고치
성인 기준: 140~280 U/L (검사 기관마다 다를 수 있음)
수치 범위 | 의심 질환 |
---|---|
경도 상승 | 간염, 폐렴, 근육 손상 등 |
중등도 상승 | 간경변, 백혈병, 종양 |
고도 상승 | 악성종양 전이, 급성 조직 괴사 |
LDH 동위효소 (Isoenzymes)
LDH는 5종의 동위효소로 나뉘며, 각 조직에 특이적으로 분포합니다.
Isoenzyme | 주 분포기관 | 의심 질환 |
---|---|---|
LDH-1 | 심장, 적혈구 | 심근경색, 용혈 |
LDH-2 | 망상내피계 | 비특이적 |
LDH-3 | 폐, 림프 | 폐렴, 폐색전증 |
LDH-4 | 신장, 췌장 | 췌장염 |
LDH-5 | 간, 골격근 | 간질환, 근육손상 |
LDH와 다른 효소 비교
효소 | 특징 | 주요 상승 질환 |
---|---|---|
LDH | 전신 조직 존재, 비특이적 | 조직 손상, 암, 용혈 |
AST | 심장, 간, 근육 | 간염, 심근경색 |
ALT | 간 특이성 높음 | 간염, 지방간 |
CK | 골격근, 심장 | 근육손상, 심근경색 |
검사 시 주의사항
- 운동 후 일시적 상승 가능
- 용혈된 검체는 위양성 가능성 있음
- 약물 복용(에스트로겐, 알코올) 영향 가능
결론
LDH는 비특이적이지만 조직 손상 감지, 암 진행도 파악, 심장 및 간질환 감별 등에 폭넓게 활용됩니다. CK, AST와 함께 해석 시 더욱 신뢰도 높은 진단 정보 제공이 가능합니다.
출처 및 참고문헌
- Mayo Clinic Laboratories
- UpToDate: LDH overview
- 대한진단검사의학회 검사 가이드라인
- Clinical Biochemistry, Elsevier
728x90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