검사

LDH 검사 완전 정복 – 조직 손상부터 종양까지

Rx지식노트 2025. 6. 8. 10:45
728x90
반응형

 

 

LDH 검사 완전 정복 – 조직 손상부터 종양까지

LDH란 무엇인가?

LDH(Lactate Dehydrogenase, 젖산탈수소효소)는 포도당 대사에서 젖산을 피루브산으로 전환시키는 데 관여하는 효소입니다. 심장, 간, 신장, 근육, 적혈구 등에 존재하며, 조직 손상의 지표로 활용됩니다.

검사 목적 및 적응증

사용 목적 설명
조직 손상 확인 심근경색, 간손상, 폐 손상 등에서 LDH 상승
용혈 평가 적혈구 파괴 여부 확인 (용혈성 빈혈 등)
종양 추적 및 예후 평가 림프종, 백혈병, 고환암 등에서 치료 반응 추적
치료 반응 모니터링 항암 치료 후 LDH 감소 여부로 반응 평가

정상 참고치 및 해석

구분 정상 범위 (성인) 참고
LDH 총량 140 ~ 280 IU/L 검사실 방법에 따라 다름
LDH 동위효소 LDH-1 ~ LDH-5 분획 분석 가능

LDH 동위효소와 손상 장기

동위효소 주된 위치 손상 시 질환 예시
LDH-1 심장, 적혈구 심근경색, 용혈성 빈혈
LDH-2 망상내피계 백혈병
LDH-3 폐, 림프조직 폐렴, 폐색전증
LDH-4 신장, 태반, 췌장 췌장염
LDH-5 간, 골격근 간염, 근육 손상

LDH 상승 해석 주의사항

  • 비특이적 상승: 다양한 원인으로 인해 수치가 높을 수 있으므로 단독 해석 금지
  • 검체 문제: 채혈 시 용혈되면 위양성 가능성 있음
  • 약물 영향: 항암제, 항생제 등이 LDH 수치를 변화시킬 수 있음

임상 적용 예시

  1. 심근경색: LDH-1 > LDH-2 'Flipped pattern'은 심근경색 특징
  2. 악성 림프종: 종양 괴사와 세포 증식으로 LDH 상승, 치료 추적 지표로 활용
  3. 용혈성 빈혈: 적혈구 파괴로 LDH, 간접 빌리루빈 증가 및 haptoglobin 감소

권위 있는 참고 자료

  • UpToDate - "Approach to the patient with elevated serum LDH"
  • Tietz Textbook of Clinical Chemistry and Molecular Diagnostics (7th Ed.)
  • 대한진단검사의학회 LDH 검사 가이드라인
  • Lab Tests Online - LDH

결론

LDH는 조직 손상과 관련된 중요한 생화학 지표로 다양한 질환에서 활용됩니다. 그러나 비특이적이므로 반드시 다른 검사 및 임상 소견과 함께 해석해야 하며, 동위효소 분석이 유용할 수 있습니다.


 

728x90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