검사

알부민(Albumin) 혈청검사 – 생리적 기능, 해석 기준, 임상 적용

Rx지식노트 2025. 6. 14. 13:47
728x90
반응형

🧬 알부민(Albumin) 혈청검사 – 생리적 기능, 해석 기준, 임상 적용

메타설명: 알부민은 혈중 주요 단백질로 간 기능과 영양 상태를 반영하며, 다양한 질환의 진단과 예후 예측에 사용됩니다. 본 글에서는 알부민의 생리학적 기능, 정상수치 범위, 임상적 해석, 관련 질환과의 연관성을 체계적으로 정리합니다.


1. 알부민이란?

알부민은 간에서 합성되는 분자량 약 66.5 kDa의 단일사슬 단백질로, 혈장 단백질의 약 50~60%를 차지합니다. 주요 기능은 혈관 내 삼투압 유지, 다양한 물질 운반, 항산화 작용, 약물 결합 및 혈액 내 pH 완충 작용입니다.

기능 설명
삼투압 유지 혈관 내 정수압 유지, 부종 방지
운반 기능 지방산, 빌리루빈, 칼슘, 호르몬, 약물 운반
항산화 기능 자유 라디칼 제거, 항염 작용
pH 조절 완충 작용 통해 산-염기 평형 유지

2. 알부민의 참고치 (정상 수치 범위)

구분 수치 (g/dL) 임상 해석
정상 3.5 ~ 5.2 정상 대사 상태
경계 저하 3.0 ~ 3.4 기능 저하 가능성
저알부민혈증 < 3.0 영양장애, 간질환 등
고알부민혈증 > 5.2 대개 탈수 상태

※ 해석 시 탈수 여부 및 간기능 지표 동시 평가 필수

3. 임상적 해석: 저알부민혈증의 원인과 질환

분류 주요 원인 예시 질환
간 합성 저하 간세포 기능 저하 간경변, 간염
단백 소실 증가 혈관 외 단백 유출 신증후군, 화상
섭취/흡수 부족 영양결핍, 흡수장애 암, 흡수장애증후군
체액 희석 수액 과잉, 부종 SIADH 등

4. 알부민과 임상적 적용

  • 간 기능 평가: 간 합성 기능 반영, PT(INR), AST, ALT와 병행
  • 영양 평가: 만성질환자, 암환자, 노인 등에서 회복 지표
  • 중환자실 환자 예후: < 2.5 g/dL이면 사망률 증가
  • 신질환 관련: 신증후군 시 급격한 저하

5. 고알부민혈증은?

대개 병적 상황은 드물며, 탈수에 의한 상대적 농축 상태로 해석합니다.

6. 검사 시 주의사항

  • 금식 불필요
  • 수액 투여 여부 확인
  • 간기능검사, 총단백과 함께 종합 해석

✅ 요약 포인트

항목 핵심 내용
기능 삼투압 유지, 운반, 항산화
정상수치 3.5 ~ 5.2 g/dL
감소 시 간질환, 영양결핍, 신증후군
증가 시 탈수 의심
주의사항 다른 간기능 지표와 함께 해석

📚 참고 문헌 및 출처

  • 대한간학회 간질환 진료지침 (2024)
  • UpToDate: Serum albumin - Clinical significance
  • MSD Manual: Albumin Overview
  • 대한진단검사의학회 검사정보집 (2023)
728x90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