728x90
반응형
심전도(EKG) 기본 파형 해석 – P파, QRS파, T파, 리듬, 심박수 분석
1. 심전도의 기본 개념
심전도(EKG 또는 ECG, Electrocardiogram)는 심장의 전기적 활동을 시간의 흐름에 따라 기록한 것입니다. 전극을 통해 얻은 전기신호는 심장의 수축과 이완 과정에서 발생하며, 이를 통해 심장의 전기생리학적 기능을 평가할 수 있습니다.
2. 심전도 파형의 구성
- P파: 심방의 탈분극 (심방 수축을 의미)
- PR간격: 심방에서 심실까지의 전도 시간 (0.12~0.20초)
- QRS복합체: 심실의 탈분극 (심실 수축, 0.06~0.10초)
- ST분절: 심실 탈분극 완료 후 재분극 시작 전
- T파: 심실의 재분극 (심실 이완 과정)
- QT간격: 심실 전체 수축~이완 시간 (교정 QTc로 평가)
3. 심박수 계산법
R파 간의 거리(R-R 간격)를 기준으로 계산합니다.
- 큰 칸 1개 간격: 300bpm
- 2칸: 150bpm
- 3칸: 100bpm
- 4칸: 75bpm 등
4. 리듬 분석의 5가지 포인트
- P파가 있는가?
- P파의 간격이 일정한가?
- 각 P파 다음에 QRS가 있는가?
- QRS의 폭은 정상인가?
- 심박수는 규칙적인가?
5. 정상 수치 기준
지표 | 정상 수치 |
---|---|
심박수 | 60~100회/분 |
PR 간격 | 0.12~0.20초 |
QRS 간격 | ≤ 0.10초 |
QT 간격 | ≤ 0.44초 (QTc 기준) |
6. 병리적 소견 예시
- 1도 방실차단: PR 간격 > 0.20초
- 완전 좌각차단(LBBB): QRS > 0.12초, 넓고 깃발 모양
- 심근경색: ST 분절 상승 또는 T파 역전
- 고칼륨혈증: T파 고융기, PR 연장, QRS 확장
- QT 연장: torsades de pointes 위험성 증가
7. 특수 리듬 예시
- 심방세동(Afib): P파 없음, RR 간격 불규칙
- 심실빈맥(VT): 넓은 QRS, 규칙적인 빠른 심박수
- 심정지(Asystole): 전기활동 거의 없음
결론
심전도는 심장의 전기적 상태를 빠르게 파악할 수 있는 강력한 도구입니다. 기본적인 P-QRS-T 파형, 각 간격, 리듬의 규칙성을 익히면, 부정맥, 허혈, 전해질 이상, 전도장애 등 다양한 심장 상태를 조기에 파악할 수 있습니다.
출처
- 대한심장학회 심전도 진료지침 (2022)
- UpToDate: Basic principles of ECG interpretation
- ACLS Provider Manual (American Heart Association)
728x90
반응형
'검사' 카테고리의 다른 글
신장 기능검사 해석 방법 - BUN, Creatinine, eGFR, Cystatin C의 비교와 임상적 의미 (0) | 2025.05.26 |
---|---|
간 기능 검사 해석 – AST, ALT, γ-GTP, ALP 비교와 임상적 의미 (1) | 2025.05.24 |
갑상선 기능검사의 모든 것! TSH, Free T4, T3항체 검사 (1) | 2025.05.23 |
간염 바이러스 완전 분석. B형 간염의 모든 것 (1) | 2025.05.21 |
혈당검사의 모든것! 당수치의 원인 정밀 분석, 완벽 해석 (1) | 2025.05.21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