항생제 분류와 작용기전 – 페니실린, 세팔로스포린, 퀴놀론 비교

Rx지식노트 2025. 5. 29. 16:26
728x90
반응형

 

항생제 분류와 작용기전 – 페니실린, 세팔로스포린, 퀴놀론 비교

1. 항생제의 기본 개념

항생제(Antibiotics)는 세균의 성장을 억제하거나 사멸시키는 물질로, 감염성 질환의 치료에 널리 사용됩니다. 작용 기전에 따라 여러 계열로 분류되며, 각 계열은 서로 다른 세균의 구조적 또는 대사적 요소를 표적으로 합니다.

2. 작용기전에 따른 항생제 분류

  • 세포벽 합성 억제제: β-lactam계 (Penicillin, Cephalosporin, Carbapenem)
  • 단백질 합성 억제제: Macrolides, Aminoglycosides, Tetracyclines
  • DNA 합성 억제제: Quinolones (Ciprofloxacin, Levofloxacin)
  • 대사 억제제: Sulfonamides, Trimethoprim

3. 대표 항생제 계열 비교

3.1 페니실린계 (Penicillin)

페니실린은 β-lactam 고리를 가지고 있으며, 세포벽 합성에 관여하는 PBP(Penicillin Binding Protein)에 결합하여 세균의 세포벽 합성을 방해합니다.

  • 대표 약물: Penicillin G, Amoxicillin, Ampicillin
  • 효과: 주로 Gram 양성균에 작용
  • 사용 질환: 인두염, 매독, 연조직 감염 등
  • 부작용: 알레르기 반응 (아나필락시스 포함)
  • 국내 제품 예: 아목사펜, 페니지신

3.2 세팔로스포린계 (Cephalosporins)

페니실린과 유사한 β-lactam 구조를 가지며, 세대에 따라 스펙트럼이 다양하게 나뉩니다. 대부분 β-lactamase에 대한 내성이 높습니다.

  • 1세대: Cephalexin → 피부 감염
  • 3세대: Ceftriaxone, Cefotaxime → 폐렴, 요로감염
  • 4세대: Cefepime → 광범위 감염
  • 국내 제품 예: 세프란, 세포락신, 세프트리

3.3 퀴놀론계 (Quinolones)

DNA gyrase와 topoisomerase IV를 억제하여 세균 DNA 복제를 방해합니다. 대부분 경구 및 정맥제제로 사용 가능하며, Gram 음성균에 강력한 활성을 가집니다.

  • 대표 약물: Ciprofloxacin, Levofloxacin, Moxifloxacin
  • 사용 질환: 요로감염, 호흡기 감염, 위장관 감염 등
  • 부작용: 건염, QT 연장, 신경계 이상
  • 국내 제품 예: 시프로바이, 레보팍신, 목시비드

4. 항생제 내성의 개념

항생제 오·남용은 내성균 출현을 증가시켜 치료 실패 및 공공보건 위기를 초래합니다. 따라서 감염 원인균을 확인하고, 감수성 검사에 따라 적절한 약제를 선택해야 합니다.

5. 항생제 선택 시 고려사항

  • 감염 부위 및 중증도
  • 과거 항생제 사용 이력 및 내성
  • 신장 및 간 기능
  • 임신 여부, 연령
  • 약제의 부작용 프로파일

6. 결론

항생제는 기전, 스펙트럼, 부작용이 서로 다르기 때문에 정확한 감염 진단과 감수성 검사 결과를 바탕으로 적절하게 선택하는 것이 필수입니다. 올바른 항생제 사용은 개인의 치료 성공뿐만 아니라 내성균 억제를 위한 공중보건적 책임이기도 합니다.

출처

  • 대한감염학회 항생제 처방 가이드라인 2023
  • UpToDate: Principles of antimicrobial therapy
  • CDC: Antibiotic prescribing and use
728x90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