728x90
반응형
대사증후군(Metabolic Syndrome) – 전문 심화 분석
1. 대사증후군이란?
대사증후군은 고혈압, 고혈당, 복부비만, 고중성지방, 낮은 HDL 콜레스테롤 등 대사 이상이 복합적으로 나타나는 증후군입니다. 이 중 3가지 이상에 해당되면 대사증후군으로 진단되며, 심혈관 질환 및 제2형 당뇨병 발생 위험이 크게 증가합니다.
2. 진단 기준
다음 5가지 항목 중 3가지 이상에 해당 시 대사증후군으로 진단합니다. (대한비만학회 기준)
항목 | 기준 |
---|---|
복부비만 | 남성 ≥ 90cm, 여성 ≥ 85cm |
고중성지방 | ≥ 150 mg/dL 또는 TG 치료 중 |
낮은 HDL | 남 < 40 mg/dL, 여 < 50 mg/dL 또는 치료 중 |
고혈압 | ≥ 130/85 mmHg 또는 항고혈압제 복용 중 |
공복혈당 | ≥ 100 mg/dL 또는 혈당강하제 복용 중 |
3. 유병률 및 역학
- 한국 성인 3명 중 1명 대사증후군 해당
- 중장년층, 폐경기 여성에서 유병률 증가
- 비만, 좌식 생활, 고탄수화물 식사와 관련
4. 병태생리
대사증후군의 핵심은 인슐린 저항성입니다. 말초 조직이 인슐린에 적절히 반응하지 못해 고혈당 및 고중성지방, 복부비만, 고혈압 등이 연쇄적으로 발생합니다.
5. 검사 항목 요약
항목 | 정상 참고치 | 의미 |
---|---|---|
공복혈당 | < 100 mg/dL | 당뇨병 전단계 경계 |
중성지방 | < 150 mg/dL | 심혈관 위험 인자 |
HDL-C | 남 ≥ 40, 여 ≥ 50 mg/dL | 높을수록 좋음 |
혈압 | < 130/85 mmHg | 고혈압 기준 |
허리둘레 | 남 < 90cm, 여 < 85cm | 복부비만 판단 기준 |
6. 합병증
- 심근경색, 뇌졸중
- 제2형 당뇨병
- 지방간, 만성신질환
- 대장암, 유방암 등 일부 암
7. 치료 및 예방
① 생활습관 개선
- 고섬유·저탄수화물 식단
- 주 150분 이상 유산소 운동
- 체중 5~10% 감량
② 약물치료 (인자별)
인자 | 약물 |
---|---|
고혈압 | ACEi, ARB, CCB |
고중성지방 | Fibrate, Omega-3, Niacin |
고혈당 | Metformin 등 |
복부비만 | GLP-1 유사체 등 |
8. 참고문헌
- 대한비만학회. 대사증후군 진단 기준 (2023)
- American Heart Association. Metabolic Syndrome Update (2022)
- IDF Consensus Definition, 2023
9. 결론
대사증후군은 단일 질환이 아닌, 생활습관 이상이 복합된 위험 군입니다. 각 항목에 대해 조기 진단과 적극적인 관리가 필요하며, 체중감량과 식이/운동 관리가 중심이 되어야 합니다. 복부비만과 고중성지방이 시작이라면 지금이 바로 예방의 골든타임입니다.
728x90
반응형
'질환' 카테고리의 다른 글
바렛 식도(Barrett’s Esophagus) – 장상피화생과 식도선암의 연속적 변형 (1) | 2025.06.20 |
---|---|
통풍(Gout)의 모든 것 – 요산 대사의 붕괴와 관절 염증의 연결고리 (2) | 2025.06.19 |
비인두암(Nasopharyngeal Carcinoma)의 병태생리, 진단 및 치료 전략 (1) | 2025.06.17 |
비알콜성 지방간(NAFLD): 병태생리, 진단, 치료 전략까지 (0) | 2025.06.16 |
폐색전증(Pulmonary Embolism)의 원인, 증상, 진단, 치료 (0) | 2025.06.15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