질환

바렛 식도(Barrett’s Esophagus) – 장상피화생과 식도선암의 연속적 변형

Rx지식노트 2025. 6. 20. 11:07
728x90
반응형

📌 정의 및 임상적 의의

바렛 식도는 만성 위식도역류(GERD)에 의한 손상으로 식도 하부의 편평상피가 장상피(Intestinal-type columnar epithelium)로 전환된 상태입니다. 이는 식도 선암(Adenocarcinoma)의 전구병변이며, 조기 진단 및 감시가 매우 중요합니다.

🧬 병태생리

  1. GERD → 위산과 담즙산의 만성 자극
  2. 편평상피 손상 후 상피 재생 과정 → 장상피화생 발생
  3. Goblet cell 존재 시 진단 확정 (장상피화생)
  4. 이형성 발생 → 고등급 이형성(HGD) → 식도 선암 진행

※ 주의: Goblet cell 없는 경우 바렛 식도로 간주하지 않음 (북미 기준)

🔬 조직학적 분류

분류 설명
장상피화생 Goblet cell 존재, 진단 필수 요건
이형성 없음 비이형성, 추적관찰 대상
저등급 이형성 (LGD) 핵 과염색, 세포배열 이상
고등급 이형성 (HGD) 고도 핵 이상, 암 전단계
조기 선암 점막층에 국한된 식도 선암

🧪 진단 방법

검사 내용
상부 위장관 내시경 Salmon-colored mucosa 관찰, 분절 길이 측정
조직 생검 Seattle protocol 적용 (4사분면 생검)
병리 판독 Goblet cell, 이형성 유무 확인

Prague C & M 분류 사용: Circumferential(C), Maximal(M) 길이 측정

⚠️ 위험인자

  • GERD 5년 이상
  • 백인 남성, 고령, 흡연자
  • 복부비만
  • 식도 질환 가족력

🩺 치료 전략

병기 치료
비이형성 바렛 식도 PPI, 3~5년 내시경 추적
저등급 이형성 (LGD) 고주파 열치료(RFA), EMR 병합 고려
고등급 이형성 (HGD) RFA + EMR 병합, 필요시 식도절제술
조기 식도 선암 내시경 점막 절제술(EMR), 식도절제 고려

🔄 RFA vs EMR 비교

항목 RFA EMR
목적 광범위 병변 소작 국소 병변 제거 및 병기 확인
적용 대상 장상피화생 범위 넓은 경우 초기 병변 국한 시
장점 시술 간단, 재발률 낮음 병리 진단 가능
단점 조직 수집 불가 합병증 위험, 시술 난이도 높음

📉 예후 및 추적

  • LGD → 5년 내 10~15% HGD 또는 암 진행
  • RFA 후 재발률: 5~10%
  • 조기 치료 시 생존율 90% 이상

🧠 최신 가이드라인 요약

기관 권고 사항
AGA (2022) LGD 이상 시 적극적 절제 또는 Ablation
ESGE (2023) 모든 바렛 식도 환자에게 조직검사 필수
대한소화기내시경학회 이형성 단계별 맞춤 치료 권고

📌 결론

  • 바렛 식도는 식도선암으로의 진행 가능성 있는 전단계
  • 정기 내시경 + 조직검사 통해 조기발견 중요
  • 이형성 발생 시 치료 개입 적극 고려 필요

📚 참고문헌

  1. Spechler SJ, et al. Barrett’s Esophagus. N Engl J Med. 2023.
  2. AGA Clinical Practice Update on Barrett's Esophagus: 2022
  3. 대한소화기내시경학회 진료지침 (2023)
  4. Sharma P, et al. Gastroenterology. 2019;156(3):748-764.
  5. UpToDate: Barrett's Esophagus – Clinical features and treatment
728x90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