질환

위염과 위궤양의 차이, 증상,진단,치료 모든 것

Rx지식노트 2025. 5. 21. 23:51
728x90
반응형

 

위염과 위궤양 – 증상, 진단, 치료 전략 비교

개요

위염과 위궤양은 위장관 질환 중 가장 흔한 두 가지로, 증상이 유사하지만 조직 손상의 깊이와 치료 접근 방식에서 중요한 차이를 보입니다.

정의 및 병태생리

  • 위염: 위점막에 국한된 염증
  • 위궤양: 점막 하 조직 또는 근육층까지 침범한 궤양

원인 비교

구분 위염 위궤양
감염 헬리코박터 파일로리 헬리코박터 파일로리
약물 NSAIDs, 아스피린 NSAIDs, 스테로이드
생활습관 스트레스, 흡연, 음주 흡연, 음주, 불규칙 식사

주요 증상

  • 공통: 속쓰림, 상복부 불쾌감, 소화불량
  • 위궤양 특이: 식후 통증, 체중감소, 흑변, 출혈 가능

진단 방법

  • 내시경: 점막 상태 직접 관찰
  • 조직검사: 헬리코박터 감염, 악성 여부 확인
  • 요소호기 검사 / 대변항원검사: 헬리코박터 진단
  • 혈액검사: 간접적 염증 확인

헬리코박터 제균 치료

  • 1차 요법: PPI + 항생제 2종 (클라리스로마이신 + 아목시실린 등) 14일
  • 제균 성공 여부: 제균 후 요소호기검사로 평가

치료 전략

질환 기본 치료 보조 관리
급성 위염 제산제, PPI, 식이요법 자극 음식 피하기, NSAIDs 중단
만성 위염 PPI 장기 복용, 제균 치료 주기적 내시경, 생활습관 교정
위궤양 PPI + 제균치료 금연, 금주, 정기 내시경 추적

주의할 점

  • 위궤양은 심한 경우 천공, 출혈, 위암 위험 존재
  • 장기간 NSAIDs 복용 환자, 고령자는 정기 내시경 필수

결론

위염과 위궤양은 증상이 유사하나 진단과 치료는 본질적으로 다릅니다. 내시경 검사와 헬리코박터 감염 여부 확인을 통해 정확한 원인을 파악하고, 상황에 맞는 치료 전략을 세워야 위장관 합병증을 예방할 수 있습니다.

출처

  • 대한소화기학회 내시경 진료지침 2023
  • UpToDate: Gastritis and peptic ulcer disease
  • 서울대병원 의학정보센터, 헬리코박터 감염 치료 가이드
728x90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