728x90
반응형
심부전(Heart Failure) – 분류, 원인, 진단 기준, 약물 및 비약물 치료 전략
1. 심부전이란?
심부전은 심장이 체내 대사에 필요한 혈액을 충분히 펌프하지 못하는 상태입니다. 혈류 부족으로 인해 다양한 장기에 산소와 영양분이 충분히 공급되지 않으며, 심장 내압 상승으로 폐와 전신에 울혈이 발생합니다. 이는 만성 진행성 질환으로, 삶의 질 저하 및 사망률 증가와 밀접한 관련이 있습니다.
2. 분류
- 좌심실 수축 기능 기준:
- HFrEF (EF ≤ 40%): 수축기 기능 저하 심부전
- HFpEF (EF ≥ 50%): 이완기 기능 장애 심부전
- HFmrEF (EF 41~49%): 중간 역심부전
- 시간 경과 기준: 급성 vs 만성
3. 주요 원인
- 허혈성 심질환 (심근경색, 협심증)
- 고혈압성 심비대
- 심근병증 (확장형, 비대형)
- 판막질환 (대동맥판협착, 승모판 폐쇄부전)
- 부정맥 (심방세동 등)
- 감염, 독소, 대사 이상 등
4. 증상 및 징후
계통 | 주요 소견 |
---|---|
폐울혈 | 호흡곤란, 기좌호흡, 야간발작성호흡곤란, 수포음 |
전신 순환 저하 | 피로, 창백, 식욕부진, 간기능저하 |
체액 정체 | 말초부종, 복수, 경정맥 팽창, 체중 증가 |
5. 진단
- 심초음파: EF 측정, 심실 비대, 판막 기능 평가
- BNP / NT-proBNP: 심실 압력 증가 지표 (BNP > 100pg/mL)
- 흉부 X선: 심비대, 폐울혈, 흉수 확인
- 심전도: 부정맥, 좌심실 비대 등
- 기타: MRI, 심도자, 운동부하검사
6. 약물 치료
약물 계열 | 대표 약물 | 주 작용 |
---|---|---|
ACEi / ARB | 리시노프릴, 로사르탄 | 혈관 확장, 후부하 감소, 사망률↓ |
ARNI | 사쿠비트릴/발사르탄 | 안지오텐신 수용체 차단 + 나트륨 배설 촉진 |
베타차단제 | 카르베딜롤, 메토프롤롤 | 심박수 감소, 심장 부담 감소 |
이뇨제 | 푸로세미드 | 체액 감소, 울혈 완화 |
MRA | 스피로놀락톤 | 리모델링 억제, 전해질 조절 |
SGLT-2 억제제 | 다파글리플로진, 엠파글리플로진 | 심장, 신장 보호, 당뇨 동반 시 우수 |
7. 비약물 치료 및 관리
- 염분 제한 (2g/일), 수분 제한 (1.5~2L/일)
- 금연, 금주, 규칙적 체중 측정
- 심장 재활 운동 프로그램
- 중증 환자: 삽입형 제세동기(ICD), 심장 이식 고려
결론
심부전은 다양한 심혈관 질환의 최종 단계일 수 있으며, 환자의 삶의 질을 심각하게 저해할 수 있습니다. 조기 진단, 적절한 약물 치료 및 환자 맞춤형 생활 관리 전략이 재입원과 사망률을 낮추는 핵심입니다. 특히 SGLT-2 억제제와 ARNI 계열의 사용 확대는 현대 심부전 치료의 중요한 전환점으로 평가받고 있습니다.
출처
- 대한심장학회 심부전 진료지침 (2023)
- ESC Heart Failure Guidelines (2021)
- UpToDate: Management of Heart Failure
728x90
반응형
'질환' 카테고리의 다른 글
만성 신부전(CKD) – 단계별 분류, 진단 기준, 치료 접근법 (1) | 2025.05.26 |
---|---|
'조용한 침묵'간염 – 급성/만성의 원인, 증상, 진단, 치료 전략 (0) | 2025.05.24 |
빈혈의 모든 것! 빈혈 치료 전략 - 철결핍성, 만성질환, 거대적아구성 비교 (0) | 2025.05.23 |
위염과 위궤양의 차이, 증상,진단,치료 모든 것 (0) | 2025.05.21 |
고혈압 최신 진단 기준 - 고혈압 관리, 약물치료, 고혈압약 (1) | 2025.05.20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