728x90
반응형
당뇨병성 케톤산증(DKA) – 응급대응 및 진단
DKA(Diabetic Ketoacidosis)는 당뇨병의 중증 합병증 중 하나로, 인슐린 결핍으로 인해 고혈당, 케톤산증, 대사성 산증이 동시에 발생하는 응급 질환입니다. 빠른 진단과 치료가 생명을 좌우합니다.
1. 병태생리
- 인슐린 결핍 → 포도당 세포 내 흡수 불가 → 혈당 상승
- 글루카곤 증가 → 지방 분해 → 지방산 → 케톤체 생성
- 케톤체 축적 → 혈중 산성화 → 대사성 산증 발생
2. 진단 기준 (ADA 기준)
항목 | 기준 |
---|---|
혈당 | > 250 mg/dL |
pH | < 7.3 |
HCO₃⁻ | < 18 mmol/L |
AG | > 12 |
케톤 | 혈청 또는 소변 양성 |
3. 유발 인자
- 인슐린 미투여, 감염(폐렴, 요로감염)
- 급성 심혈관 사건 (MI, 뇌졸중)
- 스테로이드, 항정신병약 등 약물
4. 주요 증상
- 다뇨, 다음, 구토, 탈수
- 복통, 쿠스마울 호흡, 혼수
- 과일 냄새 나는 호흡 (아세톤 향)
5. 검사 소견
검사 항목 | 소견 |
---|---|
혈당 | 250~600 mg/dL 이상 |
혈청 케톤 | β-OH-butyrate ↑ |
ABGA | pH↓, HCO₃⁻↓ |
전해질 | K+, Na+ 불균형 |
BUN/Cr | 탈수로 상승 |
6. 치료 원칙
- 수액 공급: NS 15–20 mL/kg → 상태 따라 D5-NS 전환
- 인슐린 투여: 정맥 정주 0.1 U/kg/hr
- 전해질 보정: 특히 칼륨 보충 필수
- 원인 치료: 감염, 약물 중단 등 병행
7. 치료 중 주의사항
- 뇌부종 위험 (소아/청소년 주의)
- 저칼륨혈증 방지 → K+ 모니터링
- ABGA 및 전해질 지속 추적
8. 회복 기준
- pH ≥ 7.3
- HCO₃⁻ ≥ 18 mmol/L
- 케톤 음성화, AG 정상화
9. 예방 전략
- 인슐린 투여 지속 교육
- 자가혈당 및 케톤 모니터링
- 감염 시 용량 조절법 안내
📚 참고 문헌
- American Diabetes Association. 2023 DKA Guidelines
- Uptodate: Diabetic Ketoacidosis in Adults
- 대한당뇨병학회 진료지침
✅ 결론 요약
- DKA는 고혈당 + 케톤혈증 + 대사성 산증의 응급 질환
- 즉각적인 수액, 인슐린, 전해질 보정이 치료의 핵심
- 예방 교육과 자가관리로 사전 차단 가능
728x90
반응형
'질환' 카테고리의 다른 글
베체트병(Behçet's Disease)이란? (1) | 2025.06.26 |
---|---|
빈혈의 종류 – 병태생리 기반 분류와 진단 전략 (0) | 2025.06.24 |
고지혈증(이상지질혈증) – 종류, 진단 기준, 치료 전략 정리 (2) | 2025.06.23 |
비알코올성 지방간(NAFLD) vs 알코올성 간염 – 병태생리와 진단 기준 (2) | 2025.06.23 |
급성 위염 vs 만성 위염 – 병태생리, 진단, 치료까지 완벽 비교 (1) | 2025.06.22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