728x90
반응형
1. 서론 – 왜 노인 결핵은 중요한가?
65세 이상 노인의 결핵 발생률은 지속적으로 증가 중이며, 전체 결핵 환자의 절반 이상을 차지합니다. 고령층은 면역 저하, 만성질환, 영양 부족 등의 복합 요인으로 인해 과거 감염된 결핵균이 재활성화되어 활동성 결핵으로 이행될 수 있습니다.
2. 국내 발생 현황
구분 | 수치 |
---|---|
65세 이상 결핵 환자 비율 | 약 53.4% |
80세 이상 치료 성공률 | 약 56% |
결핵 사망자 중 고령층 비율 | 70% 이상 |
3. 병태생리 및 재활성화 기전
- 초기 감염 후 면역 억제로 인해 균이 잠복 상태로 존재
- 고령 시 세포성 면역 저하 → 재활성화
- 하엽 침윤, 흉막 삼출 등 비전형 위치 병변
4. 임상 증상 및 진단
▪ 비특이적 증상
일반 결핵 증상 | 노인 표현 |
---|---|
기침, 발열, 객담 | 식욕저하, 체중감소, 무기력 |
야간 발한 | 기저질환 악화로 착각 |
▪ 영상 및 검사
- 흉부 X선: 상엽 아닌 하엽 병변 빈도 높음
- CT: 결절, 공기음영 등 정밀 확인 필요
- 객담 검사: 도말, 배양, PCR 최소 3회
- BAL 검사: 객담 수집 불가 시 대안
5. 치료 전략
▪ 약제 요법
성인과 동일한 1차 약제를 사용하되, 고령자는 간/신장 기능, 약물 상호작용 고려 필수입니다.
약제 | 특징 | 주의사항 |
---|---|---|
INH | 핵심 약제 | 간기능 주기적 확인 |
RIF | 효소 유도 | 항응고제, 당뇨약과 상호작용 |
PZA | 치료 단축 가능 | 고령자에서는 생략 고려 |
EMB | 시신경 부작용 | 정기 안과 검사 필요 |
▪ 기타
- PZA 생략 시 9개월 요법(INH+RIF+EMB)
- D.O.T. 적용 고려 (복약 순응도 문제 해결)
6. 예방과 사회적 대응
- 65세 이상 무료 결핵 검진 대상
- 요양병원, 노인복지시설 등 정기 검진 권고
- 결핵안심병원 시범사업 → 고위험군 집중관리
📚 참고 문헌
- 질병관리청. 2023 결핵환자 신고현황
- WHO. Global Tuberculosis Report 2023
- CDC. TB in Older Adults: Clinical Considerations
- 한국결핵및호흡기학회. 결핵 진료지침 제4판
- Lee et al. Geriatric tuberculosis in South Korea. IJID, 2021
📌 다음 주제 예고:
[PART 2-8] 다약제내성결핵(MDR-TB) – 일반 결핵과 뭐가 다르고 어떻게 치료할까?
728x90
반응형
'검사 > 결핵검사실' 카테고리의 다른 글
광범위 약제내성결핵(XDR-TB) – 내성의 끝판왕, 치료 가능한가? (0) | 2025.06.28 |
---|---|
다약제내성결핵(MDR-TB) – 일반 결핵과의 차이점과 최신 치료 전략 (1) | 2025.06.27 |
소아 결핵 – 성인과는 다른 임상 양상과 진단 전략 (1) | 2025.06.25 |
잠복결핵감염(LTBI) – 증상 없는 결핵, 조용한 감염의 경고 (1) | 2025.06.24 |
다제내성 결핵(MDR-TB)과 광범위내성 결핵(XDR-TB) (0) | 2025.06.23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