728x90
반응형
광범위 약제내성결핵(XDR-TB) – 내성의 끝판왕, 치료 가능한가?
1. 정의 – XDR-TB란?
XDR-TB는 INH, RIF, FQ, 그리고 Group A 약제(베다퀼린, 리네졸리드 중 1종 이상)에 내성을 가진 결핵입니다.
2021년 WHO는 XDR-TB의 정의를 수정하여, 더 현실적이고 임상적으로 유의미한 내성 결핵군으로 재정의하였습니다.
2. 발생 현황
구분 | 국내 | 전 세계 |
---|---|---|
XDR-TB 비율 | 5~7% | 6~8% |
치료 성공률 | 약 40~50% | 39% (WHO, 2023) |
치료 기간 | 18~24개월 | 동일 |
3. 진단 전략
- Xpert MTB/XDR: 분자 수준의 약제내성 유전자 탐지
- Line Probe Assay (LPA): gyrA, rrs, rplC 등 유전자 확인
- NGS: 내성 유전자 전체 스크리닝
- 배양 DST: 정확도 높지만 소요 기간 김
TIP: 분자진단과 DST 병행이 정확도 향상에 중요합니다.
4. 치료 전략 (WHO 2022)
치료는 반드시 유효 약제 4종 이상을 포함해야 하며, 맞춤형 전략이 필요합니다.
약제 그룹 | 약물 | 특징 |
---|---|---|
Group A | 베다퀼린, 리네졸리드, 레보플록사신 | 핵심 치료약제 |
Group B | 클로파지민, 사이클로세린 | 보조 약제 |
Group C | 델라마니드, 프레토마니드, PAS 등 | 보충 약제 |
▪ 단축요법 (6~9개월)
- BPaL 요법: BDQ + PTO + LZD
- 특정 조건 하에 치료 성공률 약 89%
▪ 장기요법 (18~24개월)
- 중증 또는 복합내성 환자 대상
- 복수 약제 사용, 부작용 감시 필수
5. 치료 중 주의사항
- QT 연장 (베다퀼린): ECG 정기 확인
- 골수억제, 말초신경병증 (리네졸리드): CBC, 신경검사 필요
- 약물 상호작용: CYP450 경로 조절 확인
- 복약 순응도 향상 위해 DOT 적용 권장
6. 공공보건 대응
- XDR-TB 전원 의무 등록 및 추적 관리
- 결핵안심병원 중심 치료
- 신약 무상지원 프로그램 도입 및 확대 필요
- NGS 기반 내성 유전자 감시체계 구축 필요
📚 참고 문헌
- WHO. Global Tuberculosis Report 2023
- WHO Consolidated Guidelines on DR-TB Treatment (2022)
- Conradie F et al. Nix-TB Study. N Engl J Med. 2020
- 질병관리청. 결핵환자 관리지침 2023
- 한국결핵및호흡기학회. 결핵 진료지침 제4판
📌 다음 주제 예고:
[PART 2-10] 결핵과 HIV 동시 감염 – 면역억제 환자에서 결핵은 어떻게 나타나나?
728x90
반응형
'검사 > 결핵검사실' 카테고리의 다른 글
결핵의 잠복감염(LTBI) – 증상도 없는데 왜 치료해야 할까? (1) | 2025.06.30 |
---|---|
결핵과 HIV 동시 감염 – 면역억제 상태에서 결핵은 어떻게 다를까? (1) | 2025.06.29 |
다약제내성결핵(MDR-TB) – 일반 결핵과의 차이점과 최신 치료 전략 (1) | 2025.06.27 |
노인 결핵 – 감염보다 재활성화가 많다? 고령자의 특징과 진단 포인트 (1) | 2025.06.26 |
소아 결핵 – 성인과는 다른 임상 양상과 진단 전략 (1) | 2025.06.25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