728x90
반응형
1. 서론 – 면역이 달라지는 임신기, 감염병 취약 상태
임신은 면역 억제가 동반되는 생리적 변화로 인해 감염병에 취약해지는 시기입니다. 이 중 결핵은 산모와 태아 모두에게 중대한 영향을 미칠 수 있어 조기 진단과 치료가 중요합니다.
2. 임산부의 결핵 발병률과 감염 경로
- 임신 중 결핵은 비교적 드물지만 고위험군(이민자, 면역저하자 등)에서 빈번
- 잠복결핵이 임신 중 활동성으로 전환될 수 있음
- 감염 경로는 일반 성인과 동일하게 공기 전파
3. 결핵이 산모에게 미치는 영향
영향 | 설명 |
---|---|
조산 | 전신 염증 반응으로 자궁수축 유발 |
저체중아 출산 | 결핵으로 인한 영양결핍 및 만성 염증 |
산모 사망 | 진단 지연 시 패혈증, 호흡부전 등 가능 |
임신 유지 어려움 | 진행성 결핵 시 의료진과의 지속적 논의 필요 |
4. 태아에 미치는 영향 – 선천성 결핵의 가능성
- 태반 감염을 통한 선천성 결핵은 매우 드물지만 가능
- 산모가 치료받지 않은 상태라면 분만 직후 신생아 감염 위험 있음
- 신생아 면역력이 매우 약하므로 예방적 조치 필요
5. 진단 – 임신 중 가능한 검사
검사 항목 | 임산부에서의 사용 |
---|---|
흉부 X-ray | 복부 납 차폐 후 안전하게 시행 가능 |
IGRA | 혈액검사, 잠복결핵 진단 가능 |
TST | 가능하지만 위양성 가능성 있음 |
객담 검사 | 활동성 증상 있는 경우 시행 |
6. 치료 – 임신 중 안전한 항결핵제 사용
약물 | 임신 중 사용 가능 여부 |
---|---|
Isoniazid (INH) | 가능 |
Rifampin (RIF) | 가능 |
Ethambutol (EMB) | 가능 |
Pyrazinamide (PZA) | WHO는 사용 권장 |
Streptomycin | 금기 (태아 청각장애 유발) |
- INH 복용 시 피리독신(B6) 병용 권장
- 치료는 최소 6개월 지속
7. 태아 및 신생아 관리
- 초음파로 태아 성장 모니터링
- 출산 직후 신생아에게 TST 또는 IGRA, 흉부 X-ray 시행 고려
- 산모 치료 중이면 모유수유 및 접촉 가능
- 치료 전 분만한 경우 신생아 예방적 INH 치료 고려
8. 모유수유와 약물
- 항결핵제는 모유로 일부 분비되나 수유 금기는 아님
- 신생아 감염 위험 시 일시적 분리 고려
- 산모는 피리독신 보충 필요
9. 협진 및 관리 전략
분야 | 역할 |
---|---|
감염내과 | 결핵 진단 및 치료 |
산부인과 | 산모의 분만 및 임신 경과 관리 |
소아과 | 신생아 감염 여부 평가 및 예방 |
영양팀 | 산모 영양상태 개선 지도 |
10. 결론
임신 중 결핵은 조기 진단과 안전한 치료 전략을 통해 산모와 태아 모두의 생존률을 향상시킬 수 있습니다. 감염내과, 산부인과, 소아과의 협진이 핵심이며, 예방 중심의 관리가 매우 중요합니다.
📚 참고 문헌
- WHO. "Tuberculosis in Pregnancy" Guidance, 2022
- CDC. "Tuberculosis and Pregnancy", 2021
- 질병관리청. 결핵환자 관리지침 제4판, 2023
- American Thoracic Society. Tuberculosis in Pregnancy Guidelines, 2020
- 대한결핵및호흡기학회. 결핵 진료지침 제4판
📌 다음 주제 예고:
[PART 2-19] 결핵 백신(BCG)의 효과와 현재의 한계점
728x90
반응형
'검사 > 결핵검사실' 카테고리의 다른 글
다제내성결핵(MDR-TB)의 정의, 진단, 치료 전략 (2) | 2025.07.10 |
---|---|
결핵 백신(BCG)의 효과와 현재의 한계점 (2) | 2025.07.09 |
결핵과 당뇨병 – 서로의 예후에 어떤 영향을 주는가? (2) | 2025.07.07 |
결핵 환자와 가족을 위한 감염관리 지침 – 집 안에서 감염을 막는 방법은? (2) | 2025.07.06 |
XDR-TB(광범위약제내성결핵) – 결핵의 최종보스, 치료는 가능한가? (2) | 2025.07.05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