질환

자가면역질환 루푸스(SLE)의 증상, 진단 기준, 주요 검사 완전 정리

Rx지식노트 2025. 7. 9. 12:34
728x90
반응형

전신홍반루푸스(SLE)는 다기관에 염증을 유발하는 자가면역질환입니다. 본 글에서는 루푸스의 주요 증상, 2023 진단 기준, 자가항체 검사, 루푸스신염의 임상 소견 등을 포괄적으로 정리합니다. ANA, anti-dsDNA, 보체(C3/C4)의 진단적 의미도 함께 분석합니다.

1. 루푸스(SLE)란 무엇인가?

전신홍반루푸스(SLE, Systemic Lupus Erythematosus)는 자가면역기전으로 인해 체내 장기를 면역세포가 공격하는 만성 전신 염증 질환입니다. 주로 20~40대 여성에게서 흔히 발생하며, 유전적 요인, 호르몬, 환경적 요인, 감염, 약물 등 다양한 원인이 작용합니다.

SLE는 피부와 관절뿐 아니라 신장, 혈액, 심장, 신경계 등 다기관 침범이 가능해 임상 증상이 매우 다양합니다.

2. 주요 임상 증상

침범 장기 증상 설명
피부 나비모양 홍반, 광과민성 발진, 구강 궤양
관절 다관절통, 대칭적 관절염 (손가락, 손목)
신장 단백뇨, 혈뇨, 부종, 고혈압 (루푸스신염)
혈액계 용혈성 빈혈, 백혈구/혈소판 감소
신경계 경련, 정신병증, 두통, 인지 장애
심폐계 심막염, 흉막염, 폐렴
전신 발열, 체중 감소, 피로, 림프절 비대

3. 루푸스 진단을 위한 주요 검사

1) 자가항체 검사

항체 진단적 의미
ANA 민감도 > 95%, 초기 스크리닝 검사
anti-dsDNA SLE 특이 항체, 루푸스신염 연관성 높음
anti-Sm 특이도 매우 높음, 진단 특이성 확보
anti-Ro/La 신생아 루푸스, 쇼그렌증후군과의 연관성
RNP MCTD 감별 진단에 유용
APL 항체군 항인지질증후군 동반 여부 평가

2) 일반 검사

  • CBC: 빈혈, 백혈구/혈소판 감소 평가
  • 소변검사: 단백뇨, 혈뇨 → 루푸스신염 진단
  • 보체(C3, C4): 질병 활성도 반영 (낮을수록 활동성 높음)
  • ESR/CRP: 염증 수치 / CRP는 종종 정상이므로 주의

4. 2023 EULAR/ACR SLE 진단 기준

ANA ≥ 1:80이 진입 조건이며, 임상 및 면역 기준 점수의 합이 10점 이상이면 진단 가능

항목 점수
피부 증상 (홍반, 궤양) 2~4점
관절염 6점
신장 단백뇨 4~10점
anti-dsDNA, anti-Sm 각 6점
보체 감소 3~4점
APL 항체 양성 2~5점

단, 진단은 환자 임상 판단을 바탕으로 종합적으로 이뤄져야 합니다.

5. 감별 진단

  • 류마티스 관절염 (RA)
  • 피부근염, 다발근염
  • 쇼그렌 증후군
  • 전신성 경화증
  • 약물 유발 루푸스 (Drug-induced lupus)

6. 루푸스신염의 분류와 예후

신장 침범은 루푸스의 가장 예후 결정적인 요소 중 하나입니다. ISN/RPS 분류 (2003)를 기준으로 신장 생검으로 확인합니다.

분류 특징
Class I~II 경미한 형태
Class III~IV 가장 공격적, 면역억제 치료 필수
Class V 신증후군 유사, 단백뇨 위주

✅ 결론 요약

  • SLE는 다기관을 침범하는 자가면역질환
  • ANA, anti-dsDNA, 보체, Sm 항체 등으로 진단 접근
  • 신장 침범 여부는 예후 결정의 핵심
  • CRP는 정상일 수 있어 보완적 해석 필요

📚 참고문헌

  • 2023 EULAR/ACR SLE Classification Criteria
  • UpToDate: Clinical manifestations and diagnosis of SLE
  • 대한류마티스학회 루푸스 진료지침서
  • Harrison's Internal Medicine 21st Ed.
  • Mayo Clinic Lupus Resource Center

👉 다음 주제 예고: [약의 성분과 효능] 하이드록시클로로퀸(Hydroxychloroquine)의 작용기전과 국내 제품

728x90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