728x90
반응형
하지정맥류란?
하지정맥류는 다리 표재성 정맥이 비정상적으로 확장되어 피부 위로 튀어나오는 질환입니다. 이는 정맥 내 판막 기능 저하로 인해 혈액이 심장으로 원활히 돌아가지 못하고 정맥 내 압력이 상승하면서 발생합니다.
주요 영향 정맥: 대복재정맥(Great Saphenous Vein), 소복재정맥(Small Saphenous Vein)
⚙️ 병태생리
- 정맥 판막 기능 부전
- 혈류 역류 및 정맥 내 압력 상승
- 정맥 확장 및 굴곡, 돌출
- 만성 울혈로 피부 색소침착 및 궤양 발생
🔎 임상 증상
- 다리 피로감 및 중압감 (특히 오후에 악화)
- 푸르고 굴곡진 정맥 돌출
- 부종, 통증, 야간 경련
- 피부 착색, 습진성 피부염
- 정맥성 궤양 (심한 경우)
📊 CEAP 분류 (국제 정맥류 중증도 평가 기준)
CEAP 등급 | 임상적 특징 |
---|---|
C0 | 증상만 있음, 정맥류 없음 |
C1 | 거미혈관(모세혈관 확장) |
C2 | 육안적으로 보이는 정맥류 |
C3 | 부종 동반 |
C4a~b | 색소침착, 피부염 |
C5 | 치유된 정맥성 궤양 |
C6 | 활동성 정맥성 궤양 |
🧪 진단 검사
- 시진 및 촉진: 피부 위 정맥 돌출 확인
- 도플러 초음파 검사: 판막 역류, 혈전, 정맥 폐색 여부 확인
- 정맥류 지도화: 수술 전 혈관 경로 확인 및 역류 부위 파악
🩺 치료 방법 총정리
치료법 | 방식 | 설명 |
---|---|---|
보존요법 | 비수술적 | 압박 스타킹, 운동, 자세 교정 |
약물치료 | 경구제 | 혈관강화제 (예: 디오스민) |
경화요법 | 주사 | 정맥 내 경화제 주입, 소정맥 대상 |
고주파(RFA) | 열 응고 | 정맥 내 카테터 삽입 후 고주파 열로 폐쇄 |
레이저(EVLT) | 광 응고 | 레이저 에너지로 정맥 폐쇄, RFA와 유사 |
수술적 제거 | 정맥 결찰 | 넓은 정맥류에 적용, 회복 기간 김 |
🔍 고주파 vs 레이저 비교
항목 | 고주파(RFA) | 레이저(EVLT) |
---|---|---|
원리 | 고주파 열로 정맥 응고 | 레이저로 정맥 폐쇄 |
통증 | 적음 | 약간 있음 |
회복 속도 | 빠름 | 빠름 |
출혈/멍 | 적음 | 약간 많음 |
시술 시간 | 30분 내외 | 30~40분 내외 |
💡 생활습관 관리 팁
- 오래 서 있는 자세 피하기
- 앉아 있을 때 다리 꼬지 않기
- 종아리 펌프 운동, 발끝 들기 습관화
- 하루 1회 다리를 심장보다 높게
- 아침에 일어나자마자 압박 스타킹 착용
📚 참고문헌
- 대한정맥학회 하지정맥류 진료지침 (2020)
- SVS/AVF Clinical Practice Guidelines on Varicose Veins
- 한국혈관외과학회 교육자료
🔚 결론
하지정맥류는 단순히 미용 문제로 끝나지 않고 진행성 질환으로 발전할 수 있습니다. 조기 진단과 생활습관 개선은 물론, 필요 시 고주파 또는 레이저 치료로 효과적인 결과를 얻을 수 있습니다.
728x90
반응형
'질환' 카테고리의 다른 글
자가면역질환 루푸스(SLE)의 증상, 진단 기준, 주요 검사 완전 정리 (0) | 2025.07.09 |
---|---|
류마티스관절염 – 병태생리, 진단기준, 치료 가이드라인 (0) | 2025.07.08 |
다제내성결핵(MDR-TB) – 일반 결핵과 무엇이 다를까? (2) | 2025.07.04 |
혈우병(Hemophilia) – 응고인자 결핍에 의한 유전성 출혈 질환 – A형, B형의 차이와 유전자 치료 (2) | 2025.07.04 |
다낭성난소증후군(PCOS) – 병태생리부터 최신 치료 전략까지 (3) | 2025.06.28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