검사

소변검사 해석 – 단백뇨, 케톤뇨, 혈뇨, 유로빌리노겐의 임상적 의미

Rx지식노트 2025. 5. 29. 08:37
728x90
반응형

 

소변검사 해석 – 단백뇨, 케톤뇨, 혈뇨, 유로빌리노겐의 임상적 의미

1. 서론: 소변검사의 중요성

소변검사(Urinalysis)는 병원에서 가장 널리 사용되는 기본적인 진단 도구 중 하나로, 신장, 간, 대사 상태, 감염 등을 선별하는 데 사용됩니다. 특히 시약지를 이용한 항목 중 단백뇨, 케톤뇨, 혈뇨, 유로빌리노겐은 질병 조기 발견에 있어 핵심적인 지표로 평가됩니다.

2. 검사 항목별 병태생리와 해석

2.1 단백뇨 (Proteinuria)

정상: 0~trace / 비정상: + 이상
신장은 혈액 내 노폐물을 걸러내되 단백질과 같은 큰 분자는 여과되지 않아야 정상입니다. 사구체 손상 또는 세뇨관 재흡수 장애가 있으면 단백질이 소변으로 배출됩니다.

  • 지속적 단백뇨: 만성 신부전, 당뇨병성 신증, 사구체신염
  • 일시적 단백뇨: 운동 후, 고열, 스트레스
  • 정량검사 필요: ACR(Albumin/Creatinine Ratio) 또는 24시간 소변 단백질 정량검사

2.2 케톤뇨 (Ketonuria)

정상: 음성 / 비정상: + 이상
포도당 부족 시 지방을 에너지원으로 사용하며, 이 과정에서 생성된 케톤체(아세토아세트산, 베타하이드록시부티르산 등)가 소변으로 배출됩니다.

  • 의심 질환: 당뇨성 케톤산증(DKA), 장기 단식, 케톤 식이, 과도한 운동
  • 혈액 검사 연계: 혈중 케톤 농도, ABGA를 통한 산혈증 확인
  • 응급 상황 경고: DKA의 경우 고혈당 + 케톤뇨 + 산혈증 → 응급 치료 필요

2.3 혈뇨 (Hematuria)

정상: 음성 / 비정상: + 이상
소변에 적혈구가 섞여 있는 상태로, 요로계 어느 위치에서든 발생할 수 있습니다.

  • 육안적 혈뇨: 붉은 소변
  • 현미경적 혈뇨: 시약지는 양성, 현미경 검사에서 RBC 확인
  • 원인 감별: 요로감염, 방광염, 요로결석, 사구체염, 종양 등
  • 위양성 가능성: 마이오글로빈뇨, 월경혈 혼입
  • 진단 전략: 요침사 검사, 영상촬영, 시스토스코피

2.4 유로빌리노겐 (Urobilinogen)

정상: 소량 존재 (0.1~1 EU/dL)
간에서 생성된 빌리루빈이 장 내에서 유로빌리노겐으로 변환되어 일부는 소변으로 배출됩니다.

  • 상승: 간염, 간경변, 용혈성 빈혈
  • 감소 또는 소실: 담도 폐쇄, 담석증
  • 임상 해석: 소변 빌리루빈과 함께 판단 (빌리루빈↑ + 유로빌리노겐↓ → 담도 폐쇄)

3. 복합 해석 전략

다양한 항목을 단독이 아닌 조합으로 해석하면 진단 정확도를 높일 수 있습니다.

  • 단백뇨 + 혈뇨: 사구체신염 가능성
  • 케톤뇨 + 고혈당: DKA 의심
  • 유로빌리노겐↑ + 빌리루빈 정상: 간세포 손상
  • 유로빌리노겐↓ + 빌리루빈↑: 담도 폐쇄, 담관염

4. 결론 및 임상 적용

시약지 기반 소변검사는 간단하면서도 신속하게 환자의 신장, 간, 대사, 감염 상태를 평가할 수 있는 유용한 도구입니다. 그러나 모든 결과는 환자의 병력과 임상 증상과 함께 통합적으로 해석해야 하며, 이상 소견이 지속되거나 중복되는 경우 반드시 전문 진료 및 정밀검사를 권유해야 합니다.

출처

  • 대한진단검사의학회 – 임상검사 지침서
  • UpToDate: Approach to proteinuria, hematuria, and ketonuria
  • American Association for Clinical Chemistry (AACC)
728x90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