검사

혈당 검사 해석 – 공복혈당, 식후혈당, HbA1c, 당화알부민의 차이와 해석법

Rx지식노트 2025. 5. 28. 09:24
728x90
반응형

 

혈당 검사 해석 – 공복혈당, 식후혈당, HbA1c, 당화알부민의 차이와 해석법

1. 혈당 검사 왜 여러 가지가 필요한가?

혈당은 하루 중 시시각각 변하며, 특정 시간대의 수치만으로 당뇨병 유무나 조절 상태를 정확히 판단하기 어렵습니다. 따라서 다양한 혈당 검사를 통해 순간혈당, 식후 반응, 평균 혈당, 단기 변화 등을 종합적으로 해석해야 정확한 진단과 치료가 가능합니다.

2. 각 검사 항목의 의미 및 기준

검사 설명 정상 기준 당뇨 기준
공복혈당 (FPG) 8시간 공복 후 측정 70~99 mg/dL ≥ 126 mg/dL
식후 2시간 혈당 식사 또는 75g 포도당 후 측정 < 140 mg/dL ≥ 200 mg/dL
HbA1c 2~3개월 평균 혈당 반영 < 5.7% ≥ 6.5%
당화알부민 (GA) 2~3주 평균 혈당 반영 11~16% 20% 이상 시 조절 불량

3. 생리학적 기전 차이

  • FPG: 간 포도당 생성, 인슐린 분비 및 민감성 상태 반영
  • 식후 혈당: 췌장 1차 인슐린 분비 능력, 인슐린 저항성과 관련
  • HbA1c: 적혈구 내 당화된 헤모글로빈 비율 → 장기 혈당 반영
  • GA: 혈청 알부민 당화율 반영 → 빠른 혈당 변화에 민감

4. 진단 및 모니터링 활용

  • 당뇨병 진단: HbA1c, FPG, 식후 혈당 중 1가지 이상 기준 초과 → 진단
  • 당 조절 평가: HbA1c + 식후혈당 또는 GA 조합으로 분석
  • 입원 환자, 급성기 환자: GA 활용이 유리
  • 임신성 당뇨: OGTT, 식후 혈당 중심 해석

5. 검사 간 해석 조합

HbA1c FPG 식후 2시간 혈당 의미
전반적 고혈당 → 인슐린 치료 고려
정상 식후 혈당 조절 필요 (DPP-4 억제제 등)
정상 새벽 혈당 증가 (Dawn phenomenon 가능성)
정상 정상 정상 조절 양호

6. 해석 시 주의사항

  • HbA1c 오차 요인: 빈혈, 신부전, 혈액질환 (수명 짧은 RBC)
  • GA 오차 요인: 저알부민혈증, 간경변, 신증후군 등에서 과소/과대 평가 가능
  • 식후 혈당은 식사 내용, 시간, 운동량 등에 따라 변동성 큼

결론

혈당 관리는 단일 지표가 아닌, 다양한 검사의 조합 해석을 통해 정확히 평가할 수 있습니다. FPG는 기초 혈당을, 식후 혈당은 인슐린 반응을, HbA1c는 장기 조절 상태를, GA는 단기 변화 민감도를 보여주므로, 각각의 장단점을 이해하고 적절히 활용하는 것이 중요합니다.

출처

  • 대한당뇨병학회 진료지침 (2023)
  • ADA Diabetes Care 2023
  • UpToDate – Evaluation of hyperglycemia and diabetes
728x90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