728x90
반응형
급성 신우신염 – 증상, 진단검사, 치료 전략과 재발 방지
1. 정의 및 병태생리
급성 신우신염(Acute Pyelonephritis)은 상부 요로계, 특히 신장 실질 및 신우에 발생하는 세균성 감염입니다. 대부분의 경우, 하부 요로(방광염)에서 상행성 감염을 통해 발생하며, 드물게는 혈행성 전파로도 발생할 수 있습니다. 대표적인 병원체는 Escherichia coli이며, Klebsiella, Proteus, Enterococcus 등이 포함됩니다.
2. 주요 증상 및 임상 소견
- 고열(>38.5°C) 및 오한
- 측복부 통증 또는 CVA 타진 시 압통
- 배뇨통, 빈뇨, 절박뇨 등 방광염 증상 동반 가능
- 식욕부진, 구역, 구토
- 노인에서는 비특이적 증상(의식 저하, 허약감 등) 가능
3. 진단 검사
3.1 소변검사 및 배양
- 소변 시약지 검사: WBC(+), Nitrite(+), 단백뇨 가능
- 현미경 검사: 백혈구, 세균, WBC cast 확인
- 소변 배양: 균 확인 및 항생제 감수성 검사 필수
3.2 혈액검사
- CBC: 백혈구 증가 (neutrophilia)
- CRP/ESR: 염증 반응 수치 상승
- BUN/Cr: 신장기능 평가
- 혈액 배양: 고열 및 패혈증 의심 시
3.3 영상검사
- 복부 CT (조영제 포함): 농양, 폐쇄(요석), 해부학적 이상 평가
- 신장 초음파: 요로폐쇄, 수신증, 농양 확인
- 재발 환자: 요로 이상 여부 확인 목적
4. 치료 전략
4.1 항생제 치료
항생제는 감수성 결과 이전에도 경험적 치료로 시작해야 하며, 치료 기간은 7~14일입니다.
- 경증 외래 환자: Ciprofloxacin, Levofloxacin, TMP/SMX, 2세대 세팔로스포린
- 입원 환자: Ceftriaxone, Piperacillin-Tazobactam, Carbapenem (ESBL 의심 시)
- 감수성 결과에 따라 약제 조정
4.2 입원 적응증
- 고령 또는 기저질환 동반 (DM, 신질환 등)
- 구토로 경구 항생제 불가
- 고열 지속, 패혈증 소견
- 임신, 남성, 해부학적 이상
5. 합병증 및 재발 예방
5.1 합병증
- 신장 농양 또는 주위 농양
- 급성 신부전
- 만성 신우신염 이행
- 패혈증, 저혈압 쇼크
5.2 재발 방지
- 충분한 수분 섭취로 요 배출 촉진
- 성관계 후 배뇨 습관
- 요석, 당뇨, 요로 기형 등의 기저 질환 치료
- 여성 반복 감염자는 저용량 예방적 항생제 고려 (nitrofurantoin, TMP/SMX 등)
6. 결론
급성 신우신염은 조기 진단과 적절한 항생제 투여로 대부분 치료가 가능하지만, 고위험군에서는 심각한 합병증으로 진행할 수 있으므로 주의가 필요합니다. 증상 발생 시 즉시 병원을 방문하여 정확한 검사를 받고 치료를 시작하는 것이 중요하며, 재발 방지를 위한 생활습관 개선도 병행되어야 합니다.
출처
- 대한감염학회 요로감염 진료지침 2023
- UpToDate: Acute pyelonephritis in adults
- CDC – Guidelines for Urinary Tract Infection
728x90
반응형
'질환' 카테고리의 다른 글
담관염 (Cholangitis) – 원인, 증상, 진단, 치료 (1) | 2025.05.31 |
---|---|
심부전 (Heart Failure) – 병태생리부터 진단, 치료까지 (0) | 2025.05.30 |
제2형 당뇨병 – 병태생리, 진단 기준, 치료 전략 (약물/비약물 포함) (1) | 2025.05.28 |
철결핍성 빈혈 – 원인, 증상, 진단, 치료 전략 및 감별 포인트 (1) | 2025.05.27 |
빈혈검사해석의 모든 것! (0) | 2025.05.26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