라니티딘 vs 파모티딘: 위산 억제제의 작용기전, 임상 적용, 국내 제제 비교 및 선택 전략

Rx지식노트 2025. 6. 2. 21:04
728x90
반응형

라니티딘 vs 파모티딘: 위산 억제제의 작용기전, 임상 적용, 국내 제제 비교 및 선택 전략

H2 수용체 길항제(H2RA)는 위벽 세포의 히스타민 수용체를 차단하여 위산 분비를 억제하는 약물입니다. 대표적으로 라니티딘과 파모티딘이 있으며, 현재는 파모티딘이 주로 사용되고 있습니다.

작용기전

  • 히스타민 H2 수용체 차단 → 위산 분비 감소
  • 히스타민, 아세틸콜린, 가스트린 중 히스타민 경로 억제

라니티딘 vs 파모티딘 비교

항목 라니티딘 파모티딘
기전 H2 수용체 차단 H2 수용체 차단
용량 150mg 1일 2회 20~40mg 1일 1~2회
작용 지속 8~12시간 12~14시간
대사 경로 간 (CYP450) 소변 배설
상호작용 상대적으로 많음 적음
안전성 NDMA 검출로 퇴출 안정성 확보

라니티딘 퇴출 배경

  • 2019년 NDMA(발암 가능 물질) 검출
  • 국내외 전면 판매 중단
  • 현재 국내에서 사용 불가

파모티딘의 임상 적용

  • 위염, 위궤양, 역류성 식도염, 속쓰림
  • 속쓰림 증상 → 복용 후 1시간 이내 효과
  • PPI와 병용 또는 교차 사용 가능

H2RA vs PPI 비교

항목 H2RA (파모티딘) PPI (오메프라졸 등)
작용 발현 1시간 이내 3~4시간
지속 시간 12시간 전후 24시간 이상
위산 억제 중등도 강력
내성 가능 거의 없음
복용 시점 식사와 관계 없음 공복 복용

국내 파모티딘 제제

제품명 제약사 용량/형태
가ㅇㅇㅇ 일ㅇㅇ품 10mg, 20mg 정제
파ㅇㅇㅇ정 명ㅇㅇ약, 종ㅇ당 등 20mg, 40mg 정제
파ㅇㅇㅇ주 한ㅇㅇㅇㅇㅇ드 20mg/2mL 앰플

복용 시 주의사항

  • 신장기능 저하 시 용량 조절
  • 속쓰림 지속 시 PPI로 전환 고려
  • 장기 복용 시 내성 가능성 주의

결론

파모티딘은 라니티딘을 대체할 수 있는 안전하고 효과적인 H2 수용체 길항제입니다. 급성 위장 증상에는 파모티딘, 장기 치료에는 PPI와의 비교를 통해 적절한 약제를 선택해야 합니다.

참고문헌

  • 식약처 의약품 안전성 정보
  • FDA Ranitidine NDMA 발표자료
  • UpToDate – H2 blockers vs PPIs
  • 대한소화기학회 치료지침

다음 주제 예고

👉 내일은 새로운 주제로 다시 찾아뵙겠습니다! 감사합니다 😊

728x90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