728x90
반응형
협심증과 심근경색의 차이: 증상, 진단, 치료 비교
1. 서론
심혈관 질환은 전 세계 사망 원인 1위이며, 관상동맥질환의 대표적 양상은 협심증과 심근경색입니다. 두 질환은 유사한 흉통 증상을 유발하지만 병태생리, 예후, 치료 전략이 뚜렷하게 다르기 때문에 정확한 감별이 필수입니다.
2. 병태생리학적 차이
구분 | 협심증 | 심근경색 |
---|---|---|
기전 | 관상동맥 협착으로 인한 일시적 허혈 | 혈전 형성으로 인한 완전 또는 부분 폐색 |
심근 손상 | 없음 (허혈성 통증) | 있음 (심근 괴사 발생) |
혈류 흐름 | 일시적 감소 | 완전 차단 또는 현저한 감소 |
3. 임상 증상 비교
항목 | 협심증 | 심근경색 |
---|---|---|
통증 특성 | 무거움, 조이는 느낌 | 압박감, 쥐어짜는 통증, 찢어지는 느낌 |
지속 시간 | 수 분 이내 | 20분 이상 지속 |
발생 시점 | 운동, 감정 자극 시 | 휴식 중에도 발생 가능 |
완화 요인 | 휴식, 질산제 | 잘 완화되지 않음 |
동반 증상 | 없거나 경미함 | 식은땀, 구토, 실신 등 동반 |
4. 진단 검사 및 지표 비교
검사 항목 | 협심증 | 심근경색 |
---|---|---|
Troponin I/T | 정상 | 상승 |
CK-MB | 정상 또는 경도 상승 | 급격한 상승 |
심전도 (EKG) | ST 변동 없거나 일시적 하강 | ST Elevation (STEMI) 또는 비특이적 변화 |
관상동맥 조영술 | 부분 협착 | 완전 폐색 또는 혈전 |
5. 치료 전략
5-1. 협심증
- 약물 치료: 질산제, 베타차단제, 칼슘채널차단제, 항혈소판제
- 생활습관 교정: 금연, 운동, 저염식
- 필요 시 관상동맥중재술(PCI)
5-2. 심근경색
- STEMI: 90분 이내 PCI 또는 혈전용해제 투여
- NSTEMI: Troponin 및 GRACE score 기반 위험도 평가 → 고위험군은 PCI 시행
- 항혈소판제, 항응고제, Statin 병용
6. 예후 및 재활
항목 | 협심증 | 심근경색 |
---|---|---|
급성 사망률 | 낮음 | 높음 |
장기 예후 | 양호 (관리 시) | 심부전, 재발 위험 높음 |
재활 | 운동 및 약물관리 | 심장재활, 장기 치료 필요 |
7. 실제 사례
사례 1: 운동 시 흉통 호소, Troponin 정상 → Stable Angina → 약물치료 및 계획적 PCI
사례 2: 휴식 중 흉통, ST 상승, Troponin 상승 → STEMI → 응급 PCI 시행
8. 결론
협심증은 허혈의 경고 신호, 심근경색은 생명을 위협하는 응급 상태입니다. 통증 양상, 심전도, 심장 효소 검사를 기반으로 조기에 구별하고 적절한 치료 전략을 수립하는 것이 환자의 예후를 결정합니다.
📚 참고 문헌
- 대한순환기학회. 관상동맥질환 진료지침 제4판
- 2023 ESC Guidelines for the management of acute coronary syndromes
- UpToDate: Evaluation of chest pain in adults
728x90
반응형
'질환' 카테고리의 다른 글
대상포진(Herpes Zoster) – 원인, 치료, 예방접종 정리 (0) | 2025.06.07 |
---|---|
비만 – 내장지방 vs 피하지방의 차이와 치료 전략 (2) | 2025.06.05 |
건선(Psoriasis) – 자가면역성 피부질환의 병태생리, 진단, 치료 전략 (0) | 2025.06.03 |
통풍(Gout): 병태생리, 약물 치료 전략, 식이요법과 예방 가이드라인 분석 (2) | 2025.06.02 |
요로감염(UTI): 원인균, 진단, 치료 전략과 항생제 내성 이슈 (0) | 2025.06.02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