728x90
반응형
통풍(Gout)과 고요산혈증 치료 전략
통풍의 병태생리
통풍은 요산(Uric acid) 결정이 관절 내 침착되어 발생하는 염증성 관절염입니다. 퓨린 대사에서 생성된 요산이 과포화 상태가 되면 나트륨 요산염 결정(MSU crystals)이 형성되고, 면역계가 이를 공격하면서 극심한 통증과 염증이 발생합니다.
진단 기준 (ACR/EULAR 2015)
- 급성 단관절염 (1st MTP 관절)
- 관절액 내 요산 결정 확인
- 고요산혈증: 혈청 요산 > 6.8 mg/dL
- 초음파: double contour sign, tophi 관찰
통풍의 단계
단계 | 설명 |
---|---|
무증상 고요산혈증 | 혈중 요산 증가, 증상 없음 |
급성 발작기 | 1~2주간 극심한 통증 |
간헐기 | 무증상 기간 반복 |
만성 통풍 | Tophi, 관절 파괴, 신장 기능 저하 |
치료 전략 요약
- 급성기: 콜히친, NSAIDs, 스테로이드
- 장기 관리: 요산 생성 억제제, 배출 촉진제
- 재발 예방: 식이조절, 생활습관 개선
급성기 치료
약물 | 용량 | 주의사항 |
---|---|---|
콜히친 | 1.2mg + 1시간 후 0.6mg | 신기능에 따라 감량 |
NSAIDs | 나프록센, 인도메타신 등 | 위장 출혈 주의 |
스테로이드 | 경구/주사 | 감염 배제 필요 |
요산 저하제 요법
1. 요산 생성 억제제 (XO 억제제)
약물 | 작용 | 특징 |
---|---|---|
알로푸리놀 | XO 억제 | SCARs 주의, 저렴 |
페북소스타트 | 선택적 XO 억제 | 신기능 저하 환자 사용 가능 |
2. 요산 배출 촉진제
약물 | 작용 | 특징 |
---|---|---|
벤즈부롬 | 요산 재흡수 억제 | 간 기능 모니터링 필요 |
프로베네시드 | URAT1 억제 | 신기능 좋아야 효과적 |
요산 관리 목표
환자군 | 목표 요산 수치 |
---|---|
일반 통풍 | < 6.0 mg/dL |
결절 또는 신장결석 | < 5.0 mg/dL |
식이요법과 생활습관
피해야 할 식품
- 내장류, 멸치, 조개류, 맥주, 단 음료
권장 식습관
- 하루 2L 이상 수분 섭취
- 유제품, 채소 섭취 증가
- 비만 시 체중 감량
주의사항
- 요산 저하제 복용 시작 후 발작 증가 가능 → 예방적 콜히친 사용
- 알로푸리놀 시작 전 HLA-B*5801 검사 고려 (한국, 중국, 타이완)
- 페북소스타트: 초기 심혈관 안전성 논란 있었으나 최근 연구에서 안정성 확인
결론 요약
통풍은 단순 관절염이 아닌 만성 대사성 질환입니다. 급성기에는 염증을 조절하고, 이후에는 요산 수치를 장기적으로 관리하여 재발 및 합병증을 예방해야 합니다. 약물요법과 함께 식이조절, 운동, 수분 섭취가 치료의 핵심입니다.
참고 문헌
- ACR Gout Guidelines 2020
- 대한류마티스학회 통풍 진료지침 제3판 (2020)
- UpToDate – Treatment of Gout
- FREED, CARES Trial (NEJM, Eur Heart J)
728x90
반응형
'질환' 카테고리의 다른 글
기관지확장증(Bronchiectasis): 만성 기침과 점액 정체의 악순환 (0) | 2025.06.13 |
---|---|
대상포진 vs 단순포진: 바이러스는 다르다, 치료 전략도 다르다 (1) | 2025.06.13 |
류마티스 관절염 – 병태생리, 진단기준, 최신 치료 전략 (0) | 2025.06.11 |
가와사키병 – 소아 급성 혈관염의 진단과 치료 전략 (0) | 2025.06.09 |
대상포진(Herpes Zoster) – 원인, 치료, 예방접종 정리 (0) | 2025.06.07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