질환

기관지확장증(Bronchiectasis): 만성 기침과 점액 정체의 악순환

Rx지식노트 2025. 6. 13. 18:52
728x90
반응형

기관지확장증(Bronchiectasis): 만성 기침과 점액 정체의 악순환

기관지확장증은 기관지가 염증과 감염으로 손상되어 비정상적으로 확장되고, 점액 정체와 세균 감염이 반복되는 만성 폐질환입니다. 만성 기침, 누런 가래, 반복적인 폐렴이나 호흡곤란이 주요 증상이며 조기 진단과 관리가 중요합니다.

1. 병태생리

  • 염증 → 기관지벽 손상 및 확장
  • 점액 배출 장애 → 세균 감염 → 만성 염증 악순환
  • 폐기능 점차 저하

2. 주요 원인

분류 대표 질환
감염 폐결핵, 폐렴, 백일해
유전 낭성섬유증, 선천성 섬모운동장애
면역저하 IgA 결핍, 저감마글로불린혈증
폐쇄 이물질, 종양, 협착
기타 ABPA, 류마티스 질환

3. 주요 증상

  • 수개월 이상 지속되는 기침
  • 악취 나는 누런 가래
  • 객혈 및 호흡곤란
  • 반복 폐렴 및 기관지염

4. 진단 검사

  • HRCT: 기관지 확장 및 벽 비후 확인
  • 객담배양: P. aeruginosa 등 감염균 확인
  • 면역검사: IgG, IgA, IgM 등
  • 폐기능검사: FEV1 감소

5. 치료 방법

약물 치료

  • 진해거담제, 흡입 스테로이드
  • 흡입 or 경구 항생제
  • 예방백신 (독감, 폐렴구균 등)

비약물 치료

  • 체위 배액법, 호흡재활
  • 영양 및 수분 섭취 관리
  • 심한 경우 폐엽 절제술

6. 기관지확장증 vs 낭성섬유증 비교

항목 기관지확장증 낭성섬유증
발병 시기 성인기 이후 소아기
주 원인 감염, 면역결핍 CFTR 유전자 돌연변이
주 감염균 H. influenzae, P. aeruginosa P. aeruginosa, B. cepacia
예후 조절 가능 진행성

📚 참고문헌

  • 대한호흡기학회 기관지확장증 진료지침 (2023)
  • BTS Guideline for non-CF Bronchiectasis (2019)
  • UpToDate: Bronchiectasis overview

✅ 결론

기관지확장증은 단순한 감기가 아닌 구조적 기도 손상 질환입니다. 지속적인 기침과 가래가 있다면 정밀한 진단과 적극적인 치료가 필요합니다. 조기 개입을 통해 악화를 예방하고 삶의 질을 향상시킬 수 있습니다.


728x90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