728x90
반응형
💊 비스포스포네이트(Bisphosphonates) – 골다공증 치료제의 비교, 작용기전, 적응증, 부작용
메타설명: 비스포스포네이트는 골다공증 1차 치료제로, 파골세포의 작용을 억제해 골흡수를 줄이고 골밀도를 증가시킵니다. 본 글에서는 다양한 비스포스포네이트 제제의 기전, 종류, 적응증, 부작용 및 환자 맞춤형 선택 기준을 정리합니다.
1. 비스포스포네이트란?
비스포스포네이트는 뼈의 파괴를 억제하는 대표적인 항골흡수제로, 폐경 후 여성, 고령자, 스테로이드 사용 환자 등에서 널리 사용됩니다.
파골세포(osteoclast)의 생존과 기능을 억제하여 골밀도를 증가시키고 골절 위험을 줄입니다.
2. 작용 기전 (Mechanism of Action)
- 뼈에 흡착된 비스포스포네이트가 파골세포에 흡수되어 세포사멸(apoptosis)을 유도
- 질소함유 제제는 FPPS 억제를 통해 효과를 나타냄
3. 적응증
질환 | 설명 |
---|---|
골다공증 | 폐경 후 여성, 남성, 스테로이드 유발 |
고칼슘혈증 | 암 관련 고칼슘혈증 치료 |
다발성 골수종 | 골병변 예방 |
골전이 | 암성 골전이에서 합병증 예방 |
파제트병 | 비정상 골흡수 조절 |
4. 제제별 비교
성분명 | 상품명 | 경로 | 투여주기 | 특징 |
---|---|---|---|---|
알렌드로네이트 | 포사맥스, 알레노 | 경구 | 주 1회 | 가장 널리 사용됨 |
리세드로네이트 | 악토넬 | 경구 | 주 1회 또는 월 1회 | 위장 안정성↑ |
이반드로네이트 | 본비바 | 경구/IV | 월 1회 / 3개월 1회 | 식도 자극↓ |
졸레드론산 | 아클라스타 | 정맥 | 연 1회 | 복약 순응도↑ |
5. 복용법 및 주의사항
- 아침 공복에 복용
- 240mL 이상의 물과 함께 복용
- 복용 후 최소 30~60분간 눕지 말기
- 칼슘·비타민D 보충 병행 권장
6. 부작용
구분 | 내용 |
---|---|
경구제 | 식도염, 속쓰림, 위장장애 |
정맥주사제 | 발열, 근육통, 저칼슘혈증 |
드물게 | 턱뼈 괴사, 비전형 대퇴골 골절 |
7. 치료기간 및 휴약기
- 일반적으로 3~5년 사용 후 휴약 고려
- 고위험군(골절력 있음)은 장기 사용 가능
- BMD, T-score, 골표지자 모니터링 병행
8. 비스포스포네이트 vs 데노수맙
항목 | 비스포스포네이트 | 데노수맙 |
---|---|---|
작용기전 | 파골세포 사멸 | RANKL 억제 |
투여경로 | 경구/정맥 | 피하주사 |
지속시간 | 약물 지속성 ↑ | 중단 시 BMD 급감 |
가격 | 저렴 | 고가 |
✅ 요약 포인트
항목 | 내용 |
---|---|
작용 | 파골세포 억제 → 골흡수 차단 |
대표 제제 | 알렌드로네이트, 리세드로네이트, 졸레드론산 |
복용법 | 공복, 물 충분히, 복용 후 앉아있기 |
부작용 | 식도염, 턱뼈 괴사, 비전형 골절 |
치료기간 | 3~5년 후 휴약 고려 |
📚 참고 문헌 및 출처
- 대한골대사학회 골다공증 진료지침 (2023)
- UpToDate: Bisphosphonates for osteoporosis in postmenopausal women
- AACE/ACE 2020 Guidelines for Osteoporosis
- WHO Essential Medicines List – Osteoporosis
728x90
반응형
'약' 카테고리의 다른 글
글루코사민(Glucosamine): 작용기전, 효과 근거, 성분별 차이점 완전 정리 (1) | 2025.06.16 |
---|---|
아세클로페낙(Aceclofenac)의 작용기전과 국내 제품명 (1) | 2025.06.15 |
리도카인(Lidocaine): 국소마취에서 심실성 부정맥까지 (1) | 2025.06.14 |
레보티록신(Levothyroxine): 갑상선 기능저하증 치료의 표준 (1) | 2025.06.13 |
페북소스타트(Febuxostat)의 작용기전, 약물학적 특징, 알로푸리놀과의 비교 (1) | 2025.06.12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