리도카인(Lidocaine): 국소마취에서 심실성 부정맥까지
리도카인은 아미드계 국소마취제이자 Class Ib 항부정맥제로, 다양한 의료 분야에서 필수적으로 사용되는 약물입니다.
1. 작용기전
- 전압 의존성 나트륨 채널(Na⁺ channel) 차단
- 신경 전달 차단 → 통증 억제
- 심장 근세포 전기신호 차단 → 부정맥 조절
2. 임상 적용
적용 영역 | 용도 |
---|---|
국소마취 | 치과, 내시경, 피부 절개 등 |
점막마취 | 기관지 내시경, ENT |
항부정맥 | 심실빈맥, 심정지 시 정맥 투여 |
연고/겔 | 피부 통증, 치질 |
패치 | 신경통, 대상포진 후 통증 |
3. 약동학 특성
- 작용 시작: 2~5분
- 지속 시간: 1~2시간
- 대사: 간 (CYP1A2, 3A4)
- 제형 다양: 주사, 겔, 크림, 패치 등
4. 응급의학에서의 활용
ACLS 상황에서:
- 심실세동(VF), 심실빈맥(VT) 시 정맥 투여
- 1–1.5 mg/kg IV bolus → 0.5–0.75 mg/kg 추가
- 유지용량: 1–4 mg/min IV
5. 부작용 및 독성
분류 | 증상 |
---|---|
경증 | 입술 저림, 어지러움 |
중등도 | 불안, 이명, 복시 |
중증 | 경련, 혼수, 호흡정지 |
6. 병용 및 금기
- 에피네프린 병용: 작용 지속 ↑, 출혈 ↓
- 말단부위 금기: 혈류 차단 우려 (코끝, 손가락 등)
7. 제형별 요약
제형 | 제품 예 | 용도 |
---|---|---|
주사제 | 리도카인염산염주 | 마취, 부정맥 |
겔/연고 | 리도카인겔 | 피부 마취, 외용 |
패치 | 리도카인패취 | 신경통 |
스프레이 | ENT 전처치 | 점막마취 |
📚 참고자료
- 대한심장학회 ACLS 프로토콜 가이드라인 (2023)
- WHO Essential Medicines
- Goodman & Gilman’s
- UpToDate: Lidocaine pharmacology
✅ 결론
리도카인은 마취와 응급심장치료를 아우르는 핵심 약물입니다. 작용이 빠르고 다양한 제형으로 제공되지만, 투여 시 용량과 독성 모니터링이 필수입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