728x90
반응형
결핵의 전파와 감염기전
1. 결핵의 전파: 공기 중 비말핵(Airborne Droplet Nuclei)
결핵은 전형적인 공기 전파 감염병(Airborne disease)입니다. Mycobacterium tuberculosis는 폐결핵 환자가 기침하거나 말할 때 발생하는 미세한 핵(droplet nuclei, 지름 1–5 μm)에 실려 공기 중에 수 시간 이상 부유할 수 있으며, 이를 흡입한 접촉자는 폐로 직접 병원체가 전달됩니다.
※ 침방울(droplet)과 달리, droplet nuclei는 공기 중 부유 가능 → 공기감염으로 분류됩니다.
2. 전파 효율에 영향을 주는 요인
요인 | 설명 |
---|---|
병력(Patient factors) | 객담 AFB 양성, 기침 지속, 폐 공동(cavitation) 여부 |
환경(Environment) | 밀폐 공간, 환기 부족, 장시간 체류 |
접촉자(Contact factors) | 면역력 저하, 연령, BCG 접종 여부, 영양 상태 등 |
3. 감염에서 발병까지: 감염기전 단계
- 침입 및 탐식: 결핵균은 폐포 내 대식세포에 탐식됨
- 대식세포 내 생존: phagosome 내에서 생존, 병원성 인자 작용
- 육아종 형성: Th1 면역 반응 → IFN-γ 생산 → 육아종 형성
- 잠복기 및 재활성화: 면역 저하 시 활동성 결핵으로 진행
4. 잠복결핵감염(LTBI) vs 활동성 결핵
항목 | 잠복결핵(LTBI) | 활동성 결핵(TB disease) |
---|---|---|
증상 | 없음 | 기침, 발열, 체중 감소 등 |
전염력 | 없음 | 있음 (AFB 양성 시) |
검사 | TST 또는 IGRA 양성 | AFB, PCR, 영상 진단 등 |
치료 목적 | 발병 예방 | 감염 치유 및 전파 차단 |
5. 결핵의 면역학적 특징
- 선천면역 단계: 폐포 대식세포가 결핵균 탐식, Sulfatide로 면역 회피
- 후천면역 단계: CD4+ T세포에 의한 Th1 면역반응 → IFN-γ 생산 → 육아종 형성
※ 육아종은 방어벽이지만 면역 저하 시 결핵균이 탈출하여 질병 발생
6. 감염력 해석 기준
지표 | 의미 |
---|---|
객담 AFB smear 양성 | 감염력 높음 (전파 우려) |
AFB 음성 + PCR 양성 | 균 존재하나 감염력 낮음 |
배양 양성 환자 | 격리 필요, DST 필수 |
📚 참고 문헌
- CDC. Core Curriculum on Tuberculosis: What the Clinician Should Know, 2021.
- WHO. Global Tuberculosis Report 2023.
- Ernst JD. The immunological life cycle of tuberculosis. Nat Rev Immunol. 2012.
- 질병관리청. 결핵환자 관리지침 2023.
- 대한결핵 및 호흡기학회. 결핵 진료지침 4판.
📌 다음 주제 예고:
[PART 1-3] 잠복결핵 vs 활동성 결핵 – 면역반응, 진단 방법, 치료 전략의 차이 분석
728x90
반응형
'검사 > 결핵검사실' 카테고리의 다른 글
폐외결핵의 종류와 특징 – 림프절, 척추, 결막까지 정리 (0) | 2025.06.21 |
---|---|
폐결핵의 임상 양상 – 전형적 증상, 영상소견, 감별진단 (0) | 2025.06.20 |
세계 및 국내 결핵 역학 – 유병률, 고위험군, 결핵 통계 완전 정리 (1) | 2025.06.19 |
잠복결핵(LTBI) vs 활동성 결핵(TB disease) (0) | 2025.06.18 |
결핵균의 특징 및 병원성 (0) | 2025.06.16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