검사/결핵검사실

잠복결핵(LTBI) vs 활동성 결핵(TB disease)

Rx지식노트 2025. 6. 18. 13:00
728x90
반응형

잠복결핵(LTBI) vs 활동성 결핵(TB disease)

1. 서론: 감염과 질병은 다르다

결핵균은 감염되었을 때 반드시 병으로 발전하지 않습니다. 대부분은 잠복결핵감염(LTBI) 상태로 머물며 평생 증상이 나타나지 않습니다. 하지만 면역력이 약해질 경우 활동성 결핵으로 진행되어 전염성과 병적인 변화가 발생하게 됩니다.

LTBI는 감염자 수가 많지만 인지도가 낮고, 공중보건학적 측면에서 주요 관리대상입니다.

2. 병태생리적 차이: LTBI vs Active TB

단계 설명
감염 비말핵 흡입 → 폐포 대식세포에 탐식
면역 반응 Th1 반응 → IFN-γ 유도 → 육아종 형성
잠복결핵 균이 봉쇄되어 증식 억제됨 (무증상)
재활성화 면역저하 시 균 활성화 → 활동성 결핵

3. 진단 기준 비교

항목 잠복결핵(LTBI) 활동성 결핵(TB disease)
증상 없음 기침, 발열, 체중감소, 혈담 등
영상 검사 정상 또는 섬유화 병변 폐침윤, 공동 등 활동성 병변
AFB smear / PCR 음성 양성 가능성 높음
TST / IGRA 양성 양성 (참고)
전염력 없음 있음
치료 목적 예방 치료 및 전파 차단

4. 검사 방법

  • TST (투베르쿨린 피부 반응검사): 피부에 PPD 주사 → 48~72시간 후 판독
  • IGRA (인터페론 감마 방출 검사): QuantiFERON, T-SPOT 등. BCG 접종과 무관
  • AFB, PCR, Culture: 활동성 결핵 진단용. LTBI 진단에는 사용되지 않음

5. 치료 전략

잠복결핵(LTBI) 치료

  • Isoniazid 6~9개월
  • Rifampin 4개월
  • INH + Rifapentine (3HP) 주 1회 x 3개월

활동성 결핵 치료

표준요법: 2HRZE/4HR (총 6개월) 감수성 검사와 부작용 모니터링 필요

6. WHO 및 KCDC 기준 고위험군

대상군 사유
HIV 감염자 발병률 연간 10% 이상
면역억제제 사용자 TNF-α 억제제, 항암치료 등
최근 2년 이내 접촉자 신규 감염 위험
이식 수혜자, 투석 환자 면역저하 상태
5세 미만 아동 진행 속도 빠름

7. 주의사항: 잠복결핵 치료 전 활동성 결핵 배제 필수

LTBI 치료 전 반드시 활동성 결핵 여부를 영상검사, 증상, AFB 검사 등으로 배제해야 합니다.
활동성 결핵에 LTBI 약제를 단독 투여 시, 약제내성 결핵 유발 위험이 있습니다.

📚 참고 문헌

  1. CDC. Latent Tuberculosis Infection: A Guide for Primary Health Care Providers, 2020.
  2. WHO. Latent TB Infection: Updated and consolidated guidelines for programmatic management.
  3. 질병관리청. 2023년 결핵환자 관리지침.
  4. 대한결핵 및 호흡기학회. 결핵 진료지침 4판.
  5. Getahun et al. WHO guidelines on latent tuberculosis infection. Eur Respir J. 2015.

📌 다음 주제 예고:
[PART 1-4] 세계 및 국내 결핵 역학 – 유병률, 고위험군, 결핵 통계 완전 정리

728x90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