검사

Triglyceride (중성지방) 검사 – 전문 심화 분석

Rx지식노트 2025. 6. 18. 09:20
728x90
반응형

🧪 Triglyceride (중성지방) 검사 – 전문 심화 분석

1. Triglyceride란 무엇인가?

Triglyceride(중성지방)는 글리세롤 1분자와 지방산 3분자가 결합된 구조의 지질로, 혈중 지질 중 가장 흔한 형태입니다. 사용 후 남은 에너지는 간과 지방세포에 중성지방으로 저장되며, 식사 후에는 킬로미크론 형태로 흡수되어 혈류를 따라 이동합니다.

2. 검사 목적 및 임상적 의의

  • 심혈관질환 위험 평가: 고중성지방혈증은 죽상동맥경화증, 관상동맥질환과 연관됩니다.
  • 급성 췌장염 위험 평가: TG ≥ 500mg/dL일 경우 췌장염 유발 가능성이 있으며, TG ≥ 1,000mg/dL은 응급상황일 수 있습니다.
  • 대사 질환 진단 보조: 당뇨병, 비만, 간질환 등과의 관련성 평가에 활용됩니다.

3. 검사 방법

항목 내용
검체 정맥혈 (혈청)
전처치 9~12시간 공복 유지
분석법 효소적 측정법 (Enzymatic Colorimetric Assay)
관련 검사 총콜레스테롤, HDL, LDL, VLDL

4. 참고치 및 판독 기준

분류 Triglyceride 수치 (mg/dL) 의의
정상 <150 정상범위
경계 높음 150–199 생활습관 교정 필요
높음 200–499 죽상경화증 위험 증가
매우 높음 ≥500 췌장염 위험, 치료 필요

5. 중성지방 상승 원인 비교

  • 1차성: 가족성 고중성지방혈증, 유전성 이상지질혈증
  • 2차성: 당뇨병, 비만, 알코올, 갑상선기능저하증, 약물(피임약, 레티노이드 등)

6. 치료 및 관리 전략

  1. 식이요법: 단순당, 알코올, 트랜스지방 제한
  2. 운동요법: 주 150분 이상의 유산소 운동
  3. 체중감량: 5~10% 체중 감소 시 TG 20% 이상 감소 가능
  4. 약물치료:
    • 피브레이트: 중성지방 1차 치료제
    • 오메가-3 지방산 (EPA/DHA): 고용량 투여 시 효과적
    • 니아신: TG 감소 및 HDL 증가
    • 스타틴: LDL 우선 조절, TG 보조 효과

7. 참고문헌

  • American Heart Association (AHA). Triglycerides and Cardiovascular Risk. 2021.
  • NCEP ATP III Final Report. NIH Publication No. 02-5215.
  • 대한지질·동맥경화학회. 이상지질혈증 치료지침 제5판, 2023.

🔚 결론

중성지방 검사는 심혈관계 질환, 대사 증후군, 급성 췌장염 등을 조기에 발견하고 예방하는 데 핵심적인 검사입니다. 고위험군 환자는 정기적인 추적관찰과 함께 식이 및 운동 요법, 약물치료가 병행되어야 하며, LDL/HDL 등 다른 지질 지표와의 통합 해석이 필요합니다.


 

728x90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