728x90
반응형
소염진통제의 종류와 효능 – NSAIDs vs 아세트아미노펜
소염진통제란?
소염진통제는 통증을 줄이고 염증을 억제하며, 일부는 해열 작용도 갖는 약물로 널리 사용됩니다. 이 중 대표적인 두 가지 계열은 비스테로이드성 소염진통제(NSAIDs)와 아세트아미노펜입니다.
NSAIDs와 아세트아미노펜의 작용 기전 비교
- NSAIDs: COX-1, COX-2 효소 억제를 통해 프로스타글란딘 합성을 차단하여 통증, 염증, 발열 억제
- 아세트아미노펜: 중추신경계에서 프로스타글란딘 생성 억제 → 주로 진통, 해열 작용, 소염 작용은 미약
효능 및 적응증 차이
항목 | NSAIDs | 아세트아미노펜 |
---|---|---|
효능 | 진통, 소염, 해열 | 진통, 해열 |
주 적응증 | 관절염, 염좌, 근육통, 생리통 | 두통, 치통, 감기, 발열 |
복용 용이성 | 공복 복용 시 위장장애 가능 | 공복 복용 가능 |
장기복용 위험 | 위염, 궤양, 신장 기능 저하 | 간 손상 가능 (과량 시) |
대표 성분 및 국내 약품 예시
NSAIDs
- 이부프로펜: 해열, 진통, 소염 – 이지엔6, 부루펜
- 나프록센: 지속시간 길고 관절염에 효과 – 낙센, 알보칠정
- 케토프로펜: 피부 침투력 우수, 외용제 다수 – 케펜텍, 록센
아세트아미노펜
- 성분: 파라세타몰(Paracetamol)로도 불림
- 제품: 타이레놀, 아세트펜, 게보린, 어린이 해열제
복용 시 주의사항
- NSAIDs: 위장관 출혈 위험 있으므로 식후 복용 권장
- 아세트아미노펜: 1일 4,000mg 초과 시 간 독성 발생 가능
- 고혈압, 심혈관질환 환자: 일부 NSAIDs는 혈압 상승 유발 가능
- 간 질환 병력자: 아세트아미노펜 사용 제한
복합제 사용 시 주의
감기약, 두통약, 생리통약에는 위 성분들이 중복되어 포함될 수 있습니다. 성분 확인 후 복합 복용 피해야 하며, 특히 아세트아미노펜은 총 용량 초과 주의가 필요합니다.
결론
NSAIDs와 아세트아미노펜은 작용 기전과 적응증이 다르므로 상황에 맞게 선택해야 합니다. NSAIDs는 염증이 동반된 통증에, 아세트아미노펜은 해열·두통·감기 증상 완화에 적합합니다. 약물 선택 시 개인의 건강 상태와 병력을 고려하고, 장기 복용 시 전문의 상담이 필요합니다.
출처
- 대한약사회 OTC 약물 가이드라인
- UpToDate: Nonsteroidal anti-inflammatory drugs (NSAIDs)
- 식품의약품안전처 의약품 정보
728x90
반응형
'약' 카테고리의 다른 글
이뇨제와 신장 – 루프, 티아지드, 칼륨보존형 이뇨제의 작용과 주의사항 (0) | 2025.05.26 |
---|---|
간장약 종류와 작용기전. (UDCA, 실리마린, 글루타치온 비교) (0) | 2025.05.25 |
이뇨제 종류 및 작용 기전 비교 – 루프, 티아지드, 칼륨보존형 이뇨제 (0) | 2025.05.24 |
항고협압제 상세비교, 수치는 같아도 다른 고혈압입니다. ARB, ACEi, CCB, 베타차단제의 기전과 차이점 (0) | 2025.05.23 |
고지혈증 완벽 정리- 스타틴 계열 약물 완벽 정리(LDL콜레스테롤) (2) | 2025.05.20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