728x90
반응형
이뇨제 종류 및 작용 기전 비교 – 루프, 티아지드, 칼륨보존형 이뇨제
1. 이뇨제란?
이뇨제는 신장의 세뇨관에서 전해질과 수분의 재흡수를 억제하여 소변 배설을 증가시키는 약물입니다. 주로 고혈압, 심부전, 신증후군, 간경변에 의한 부종 치료에 사용되며, 작용 부위에 따라 다양한 종류가 존재합니다.
2. 주요 분류 및 작용 부위
- 루프이뇨제: 헨레고리 상행각 – Na⁺-K⁺-2Cl⁻ 공동운반체 억제
- 티아지드계 이뇨제: 원위세뇨관 – Na⁺-Cl⁻ 공동운반체 억제
- 칼륨보존형 이뇨제: 집합관 – Na⁺ 통로 억제 또는 알도스테론 길항
3. 약리 기전 및 전해질 영향
분류 | 작용 기전 | Na⁺ 배출 | K⁺ 영향 | 특징 |
---|---|---|---|---|
루프 | 헨레고리 상행각 Na-K-2Cl 억제 | 매우 많음 | ↓ 저칼륨혈증 유발 | 가장 강력, 빠른 효과 |
티아지드 | 원위세뇨관 Na-Cl 억제 | 중등도 | ↓ 저칼륨 가능 | 장기 고혈압 치료에 사용 |
칼륨보존형 | 알도스테론 길항 또는 Na 통로 차단 | 적음 | ↑ 고칼륨혈증 가능 | 보조제, K 보존 목적 |
4. 대표 약물 및 적응증
- 푸로세미드 (루프): 심부전, 폐부종, 신기능저하 환자 가능
- 토라세미드: 생체이용률 높고 지속시간 길어 순응도↑
- 하이드로클로로티아지드 (티아지드): 고혈압 1차 약물, 부종에도 사용
- 인다파미드: 노인성 고혈압에 적합 (혈관확장 작용도 있음)
- 스피로놀락톤 (칼륨보존형): 심부전, 고알도스테론증, 여드름
- 아밀로라이드: K 보존 보조제로 병용
5. 임상 사용 시 주의사항
- 루프/티아지드: 저칼륨혈증, 저나트륨혈증, 저마그네슘혈증 → 전해질 정기적 모니터링
- 칼륨보존형: 고칼륨혈증 위험 → ACEi, ARB와 병용 시 주의
- 신기능 저하 시 루프는 사용 가능, 티아지드/칼륨보존형은 효과 감소
- 이뇨 반응 모니터링: 체중, 소변량, 전해질 변화 주기적 평가
6. 병용요법 전략
- 루프 + 티아지드: 심한 저항성 부종 시 병용 가능 (작용 부위 다름)
- 루프 + 칼륨보존형: 저칼륨 예방 목적 병용
- 고혈압에서 티아지드 + ACEi/ARB 조합 → 상승 작용
7. 약물 선택 기준 요약
상황 | 추천 이뇨제 |
---|---|
급성 폐부종, 중증 심부전 | 푸로세미드 (루프) |
경증 고혈압, 부종 | 하이드로클로로티아지드 |
심부전 + 고칼륨 방지 | 스피로놀락톤 |
신기능 저하 환자 | 루프이뇨제 |
결론
이뇨제는 다양한 전해질 변화와 신기능에 영향을 미치므로 정확한 기전 이해와 적절한 사용이 매우 중요합니다. 병태생리, 병용 효과, 환자 특성을 고려한 이뇨제 선택은 고혈압, 심부전, 부종 치료의 성공 열쇠입니다.
출처
- 대한고혈압학회 진료지침 (2023)
- UpToDate: Diuretics in clinical practice
- Harrison's Principles of Internal Medicine 21st ed.
728x90
반응형
'약' 카테고리의 다른 글
이뇨제와 신장 – 루프, 티아지드, 칼륨보존형 이뇨제의 작용과 주의사항 (0) | 2025.05.26 |
---|---|
간장약 종류와 작용기전. (UDCA, 실리마린, 글루타치온 비교) (0) | 2025.05.25 |
항고협압제 상세비교, 수치는 같아도 다른 고혈압입니다. ARB, ACEi, CCB, 베타차단제의 기전과 차이점 (0) | 2025.05.23 |
소염진통제의 모든 것 (2) | 2025.05.22 |
고지혈증 완벽 정리- 스타틴 계열 약물 완벽 정리(LDL콜레스테롤) (2) | 2025.05.20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