728x90
반응형
코르티솔(Cortisol) – 스트레스 반응과 대사 조절의 핵심 호르몬
1. 서론
코르티솔은 부신피질에서 분비되는 글루코코르티코이드 호르몬으로, 스트레스 대응과 대사 항상성 유지에 핵심적인 역할을 합니다. HPA 축에 의해 조절되며, 일중 리듬을 따릅니다.
2. 생리적 기능
기능 영역 | 세부 기능 |
---|---|
대사 조절 | 혈당 상승, 단백질·지방 분해 |
면역 억제 | 사이토카인 억제, 백혈구 이동 감소 |
스트레스 반응 | 혈압, 심박수 증가 / 에너지 동원 |
중추신경계 | 기분 변화, 각성도 증가 |
3. 분비 조절: HPA 축
- 시상하부 → CRH 분비
- 뇌하수체 → ACTH 분비
- 부신피질 → 코르티솔 분비
- 음성 피드백으로 CRH, ACTH 억제
4. 일중 리듬
코르티솔은 아침 6~8시에 최고, 자정~새벽에는 최저 수준입니다. 수면장애, 야간근무, 우울증 등은 이 리듬을 변화시킬 수 있습니다.
5. 병태생리
5-1. 과잉 상태
- 쿠싱병 (ACTH 과잉), 부신 종양
- 증상: 중심성 비만, 고혈압, 당뇨, 골다공증
5-2. 결핍 상태
- 애디슨병, 뇌하수체 기능저하
- 증상: 저혈압, 저혈당, 구토, 체중감소
6. 진단 평가
검사 | 의의 |
---|---|
아침 8시 혈청 코르티솔 | ≥18 정상 / ≤3 기능저하 의심 |
24시간 소변 코르티솔 | 과잉 진단 |
덱사메타손 억제 검사 | 억제 안 되면 쿠싱증후군 의심 |
ACTH 자극 검사 | 부신 기능저하 진단 |
7. 병태 유형별 특징
질환 | 코르티솔 | ACTH | 특징 |
---|---|---|---|
쿠싱병 | 상승 | 상승 | 음성 피드백 억제 실패 |
부신 선종 | 상승 | 감소 | ACTH 억제 |
애디슨병 | 감소 | 상승 | 부신 자체 손상 |
2차성 저하증 | 감소 | 감소 | ACTH 부족 |
8. 스트레스와의 관계
- 급성 스트레스: 일시적 코르티솔 상승 → 생존 적응
- 만성 스트레스: 고농도 지속 → 면역 억제, 비만, 우울
9. 관리 방법
- 규칙적인 수면 및 일광 노출
- 카페인, 당분 줄이기
- 호흡법, 요가, 명상 등 HPA 축 안정화
- 정신건강 상담 병행
10. 결론
코르티솔은 스트레스 대응과 항상성 유지에 필수적인 호르몬으로, 그 농도는 생리적 리듬과 질환에 따라 변화합니다. 임상에서는 코르티솔의 일중 패턴과 병태적 과잉·결핍 여부를 정밀하게 평가하고 관리해야 합니다.
📚 참고 문헌
- Harrison's Internal Medicine 21st Ed.
- UpToDate: Physiology of Cortisol
- 대한내분비학회 진료지침 (2023)
728x90
반응형
'검사' 카테고리의 다른 글
HbA1c 검사 완벽 정리 – 당뇨병 진단과 관리의 핵심 (0) | 2025.06.06 |
---|---|
총 단백질 검사 (Total Protein) 완벽 해설 (1) | 2025.06.05 |
γ-GTP 수치 상승 – 간과 담도 기능 이상을 반영하는 민감한 지표 (0) | 2025.06.04 |
CK (Creatine Kinase) 검사: 근육 손상 및 심근경색에서의 해석 (2) | 2025.06.04 |
페리틴(Ferritin) 검사 완전 정복 – 철 결핍부터 염증 질환까지 (0) | 2025.06.03 |